[영미시문학] Coleridge의 The Eolian Harp analysis(분석)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02-24 10:49
본문
Download : [영미시문학] Coleridge의 The Eolian Harp 분석.hwp
[영미시문학] Coleridge의 The Eolian Harp analysis(분석)
이처럼 기대고서, 하얀 꽃 핀 자스민,
My pensive Sara! thy soft cheek reclined
The stilly murmur of the distant Sea
![[영미시문학] Coleridge의 The Eolian Harp 분석-1023_05_.gif](/prev/200706/%5B%EC%98%81%EB%AF%B8%EC%8B%9C%EB%AC%B8%ED%95%99%5D%20Coleridge%EC%9D%98%20The%20Eolian%20Harp%20%EB%B6%84%EC%84%9D-1023_01_.gif../prev/200706/%5B%EC%98%81%EB%AF%B8%EC%8B%9C%EB%AC%B8%ED%95%99%5D%20Coleridge%EC%9D%98%20The%20Eolian%20Harp%20%EB%B6%84%EC%84%9D-1023_02_.gif../prev/200706/%5B%EC%98%81%EB%AF%B8%EC%8B%9C%EB%AC%B8%ED%95%99%5D%20Coleridge%EC%9D%98%20The%20Eolian%20Harp%20%EB%B6%84%EC%84%9D-1023_03_.gif../prev/200706/%5B%EC%98%81%EB%AF%B8%EC%8B%9C%EB%AC%B8%ED%95%99%5D%20Coleridge%EC%9D%98%20The%20Eolian%20Harp%20%EB%B6%84%EC%84%9D-1023_04_.gif../prev/200706/%5B%EC%98%81%EB%AF%B8%EC%8B%9C%EB%AC%B8%ED%95%99%5D%20Coleridge%EC%9D%98%20The%20Eolian%20Harp%20%EB%B6%84%EC%84%9D-1023_05_.gif)
Ⅰ. 시 紹介
Download : [영미시문학] Coleridge의 The Eolian Harp 분석.hwp( 78 )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Tells us of silence.(1-12행)
Coleridge의 The Eolian Harp 분석
잎에 넓은 도금양
수심에 잠긴 나의 Sara여! 그대의 부드러운 빰을 나의 팔에
[영미시문학] Coleridge의 The Eolian Harp 분석
(순진과 사랑의 어울리는 상징!)이 무수한
And watch the clouds, that late were rich with light,
With white-flower`d Jasmin, and the broad-leav`d Myrtle,
순서
7쪽
Ⅱ. 시 원문과 해석
[영미시문학] Coleridge의 The Eolian Harp 분석
설명
Slow saddening round, and mark the star of eve
(Meet emblems they of Innocence and Love!)
Shine opposite! How exquisite the scents
[영미시문학] Coleridge의 The Eolian Harp analysis(분석)
Thus on mine arm, most soothing sweet it is
To sit beside our Cot, our Cot o`ergrown
Snatch`d from yon bean-field! and the world so hush`d!
Ⅰ. 시 紹介
참고문헌
콜리지가 사라(Sara)와의 결혼을 기념으로 쓴 이시의 도입부는 시인의 명상적 독백을 통해 전체적인 상황과 배경을 나타내면서 스타트한다.
`The Eolian Harp`(1975)는 자연묘사와 명상의 결합을 통해 상상력에 의한 주체와 대상의 상호 융합의 과정을 보여주는 일련의 대화시이다. 아울러, 이 시가 대화시의 특성을 원형적 형태로 제시하고 있는 모습을 주시할 것이다. 이 시는 콜리지(S. T. Coleridge)의 대화시 중에서도 가장 먼저 쓰여 졌다는 점에서, 그리고 이 시가 콜리지 자신도 “내가 일찍이 썼던 작품들 중에서 가장 완벽한 시”(Coleridge 78)라고 언급했다는 점에서, 후에 점점 더 발전하는 콜리지의 형이상학적 비전(상상력)과 대화시의 양상을 파악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본 발표에서는, 주관적인 인간과 객관적인 자연의 교감을 가능하게 하는 상상력의 존재가 콜리지에게 있어서는 자연과 인간의 합일을 통한 상상력이어야 하며 또 그 상상력이 곧 창조의 정신임을 살펴보고자 한다.
Serenely brilliant (such should Wisdom be)
Ⅲ. 시 해설과 감상
목차
Ⅱ. 시 원문과 해석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