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화사(quantifiers)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09-17 10:09
본문
Download : 양화사(quantifiers).hwp
예컨대 John이라는 이름의 의미를 [+HUMAN, +MALE, α ADULT,...]와 같은 자질 (feature)로 나타낼 수도 있지만, John이라는 개체 (individual), 즉 JOHN이라는 지시 대상물 (referent)로 나타낼 수도 있다 ¡
이와같이 이름의 의미를 이름의 지시대상인 개체라 한다면 서술어의 의미는 개체의 집합 (set of individuals)으로 나타낼 수 있다 예컨대 춤추다라는 서술어의 의미는 춤추고있는 개체들을 모아 놓았을 때 이 개체들이 공통적으로 가지고 있는 속성이 곧 춤추다의 의미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이름과는 달리 춤추다, 걷다, 잠자다, 노래하다, 예쁘다와 같은 서술어의 의미는 개체가 아니라 개체의 집합으로 나타낼 수 있다 ¡
어휘의 의미를 개체나 개체의 집합으로 표시할 수 있다면 단어나 구가 모여 하나의 문장을 이룰 때 문장이 갖는 의미도 집합에 의하여 나타낼 수 있어야 할 것이다.¡
(20) 영희는 예쁘다.,기타,레포트
레포트/기타
Download : 양화사(quantifiers).hwp( 88 )
_hwp_01.gif)
_hwp_02.gif)
_hwp_03.gif)
_hwp_04.gif)
_hwp_05.gif)
_hwp_06.gif)
설명
양화사(quantifiers)
Cooper(1983)의 의미론은 기본적으로 Montague(1974)의 의미기술 체계를 수용하고 있으나 Montague의 의미체계와 다른 ... , 양화사(quantifiers)기타레포트 ,
Cooper(1983)의 의미론은 기본적으로 Montague(1974)의 의미기술 체계를 수용하고 있으나 Montague의 의미체계와 다른 ...
Cooper(1983)의 의미론은 기본적으로 Montague(1974)의 의미기술 체계를 수용하고 있으나 Montague의 의미체계와 다른 점은 표현의 의미를 집합론적 대상 (set theoretical objects)으로 표시하고 있다 즉 표현과 의미 사이의 관계를 일대일의 대응관계로 기술하고 있기 때문에 Montague 문법의 번역 과정을 배제한 간결한 문법체계라 할 수 있다 ¡
집합론적 대상이란 주어진 표현의 의미는 그 표현이 지시하는 대상물로 표시할 수 있다는 데 근거한 것이다.
예컨대 문장(20)의 의미는 영희라는 대상과 예쁘다는 속성을 알고 있을 때 문장(20)의 의미를 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즉 영희라는 이름은 y라는 개체를 나타내고 `예쁘다`의 속성은 예쁜것들의 집합 즉 영희, 순희, 명희등의 예쁜 속성을 가지고 있는 개체들의 집합 (즉 {y,,s,m})을 나타낸다고 할 때, y ∈ {y,s,m}이라는 관계가 성립한다면 (20)의 의미를…(To be continued )
순서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