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식문학론의 극복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19 14:29
본문
Download : 이식문학론의 극복.hwp
서평감상/서평






Download : 이식문학론의 극복.hwp( 53 )
이식문학론의 극복
이식문학론의,극복,서평,서평감상
이식문학론의극복
임화의 이식culture론을 읽은후 쓴 리포트 입니다.이식문학론의극복 , 이식문학론의 극복서평서평감상 , 이식문학론의 극복
다.
그리고 한국 문학을 살펴보면 ‘과거에 형성되어 歷史(역사)적 생명을 갖고, future(미래)에 적극적으로 influence을 미칠 수 있는 행동, 관습,…(투비컨티뉴드 )
순서
설명
임화의 이식문화론을 읽고 쓴 리포트 입니다. 임화는 전통과 신文化(culture) 와의 관련성을 이야기하면서도, 우리에게 있어서 전통은 우리 신文化(culture) 형성을 저해한다고 말한다. 전통의 단절이라는 이식문화론의 기조를 부정적 시각으로 쓴 리포트입니다. 그러면서 임화는 우리의 신문학사란 근대 서구적인 의미의 문학의 歷史(역사) 임화, 「개설신문학사」, p.17라는 내용을 고집함을 볼 수 있따 이식文化(culture) 라야 하는 이유는 ‘쇄국주의자의 항쟁이나 보수파와의 투쟁이 아니라 어떻게 일일(一日)이라도 속히 이와 같은 외래세력과 같은 정도로 혹은 그 이상의 수준으로 문명개화하고 부국강병해지겠느냐’하는데 있었으며, ‘그러기 위하여는 물론 여러 가지 방책이 있을 수 있는 것이나 가장 일반적이고 손쉬운 길은 새 文化(culture) 의 이식이다. 그것으로 말미암아 민도(民度)도 각성되고 실력도 향상되리라고 생각’하고 있기 때문일것이다
그의 이러한 인식은 한국 文化(culture) 를 주체적으로 인식하지 못하고 Japan에 대한 객체적 이식文化(culture) 로 보아 ‘한국 文化(culture) 의 식민지성, 혹은 주변성’으로 인식한 것이기 때문으로 보인다. 전통의 단절이라는 이식culture론의 기조를 부정적 시각으로 쓴 리포트입니다.
이식문학론의 결점은 전통에 대한 인식에서 가장 쉽게 드러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