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 공자와 맹자 사상의 비교.
페이지 정보
작성일 21-05-10 20:45
본문
Download : 공자 맹자.hwp
그렇기 때문에 그가 제안한 방법은 바로 인(仁)이었다. 즉, 인을 바탕으로 한 예의 실현을 바라보았다. 정명이란 무엇인가
설명
공자는 중국(China) 고대의 사상가로서 유교의 시조이다 . 그리고 맹자는 그의 제자로서 그 또한 유가의 사상을 대표하는 인물로 남아있다아 공자에게 가르침을 받은 맹자와, 공자의 사상을 비교하는 것은 큰 의미가 없을 것이라고 생각할 수도 있지만, 그 두 성인의 가르침에는 작은 차이점이 있다아 물론 이 둘은 동시대의 인물은 아니지만, 같은 뿌리에서 났지만 사상은 다소 달랐다. 여기서 공자의 인과 맹자의 인이 차이를 지니는데, 먼저 공자의 인에 관련되어 살펴보면, 공자의 인은 `인간이 타고난 내면적 도덕성`을 말했다.
본론1. 정치사상의 비교
공자는 주나라 말기, 춘추 시대를 겪으면서 극심한 사회의 혼란 요인으로 도덕적 타락에 입각하여 문제를 직시했다. 여기서의 예란 외면적인 사회 규범을 말하는 것으로, 인간이 행해야 할 바른 도리를 말한다. 그에 대한 실천 덕목으로 효, 제, 충, 신, 서 등을 말하였다. 간단하게 말하면 인간다움을 말하는 것이고, 조금 다르게 말하면 `다른 이를 사랑하는 것`을 말한다. 추기급인이라던지 덕치라든지 하는 것이 바로 그것이다. 이러했던 공자였기에 정치와 사상은 덕치를 바라보았고, 그것이 덕치주의로 나타났으며, 정명정신이라 하여 지위에 상응하는 책임과 의무를 다하도록 강조하였다. 먼저 이 두 성인이 주장한 사상에 관련되어 간략하게 intro 해보겠다.
Download : 공자 맹자.hwp( 81 )

Reference List
서론. 공자, 맹자의 사상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서론. 공자, 맹자의 사상
본론2. 공자와 맹자가 바라본 天의 의미.
[인문] 공자와 맹자 사상의 비교.
본문내용
결론. 공맹 사상이 지향하는 방향과 의의.
[이용대상]
목차
김철운 지음, 《공자와 유가》(서광사, 2007)
[참고자료(data)] 양구오롱 지음, 이영섭 옮김, 《맹자평전》(미다스북스, 2002)
공자와 맹자 사상의 비교.
공자와 맹자 사상의 비교. [참고자료] 양구오롱 지음, 이영섭 옮김, 《맹자평전》(미다스북스, 2002) 김철운 지음, 《공자와 유가》(서광사, 2007) [이용대상]
다. 그래서 나온 말이 극기복례이다.
순서
공자 , 맹자 , 사상 , 정치 , 하늘
위 표는 공자와 맹자가 주장한 사상 중 몇 가지를 간략하게 표기해본 것이다. 또한 공자는 예를 중시했다. 이것으로 하여금 외면적 사회규범으로 두어 해결책의 구체적인 방법으로 제시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