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 바르트의 신학 사상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27 06:12
본문
Download : 칼 바르트의 신학 사상.hwp
그래서 그는 말년 에 교회 교의학 제4권 1200 페이지의 분량을 “성령론적으로 ” 기술했다. 이와같이 하나님은 인간 안에서 인간과 더불어 인간을 통하여 history하시는 인간의 하나님,즉 대화의 하나님이다. B. ‘ 하나님의 인간성 ’ 과 대화의 신학
“ 하나님 말씀의 인간성 ” 이라는 강연에서 바르트는 신성을 올바르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인간성에 대한 이해를 포함하는 것이어야 하며 그의 신성은 인간성으로 둘러 싸여 있다고 했다. 하나님의 인간성 강조는 그의 교의학 ‘화해론’에서 ‘그리스도의 모방’ 과 ‘제자직에로의 부름’ 등의 윤리 속에서 더욱 구체화 되어 종교 개혁자들의 오직 신앙으로 , 오직 은총만의 전통을 이으면서 보다 구체적인 현실적인 삶에 적용한다는 점에서 종교개혁자들을 넘어선다. 이제 바르트는 하나님의 인간됨 속에서 “하나님은 인간이다. 바르트는 슐라이어 마허를 신학사에서 찾아보기 어려운 영웅이라고 말하지만 그를 추종하지는 않았다. 이제 바르트는 “ 로마서 주석 ”에서 처럼 ‘하나님 자체 ’나 인간과 질적으로 다른 ‘ 절대 타자‘로서 하나님을 말하지도 않고 예수 그리스도 만을 말하는 ‘계시 실증주의자’로 오해 받지도 않는다. 바르트는 그가 처한 종교적 정치적 상황을 떠나서는 하나님…(To be continued )
“ 하나님 말씀의 인간성 ” 이라는 강연에서 바르트는 신성을 올바르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인간성에...
B. ‘ 하나님의 인간성 ’ 과 대화의 신학 “ 하나님 말씀의 인간성 ” 이라는 강연에서 바르트는 신성을 올바르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인간성에... , 칼 바르트의 신학 사상인문사회레포트 ,
레포트/인문사회
,인문사회,레포트





순서
설명
B. ‘ 하나님의 인간성 ’ 과 대화의 신학
칼 바르트의 신학 사상
Download : 칼 바르트의 신학 사상.hwp( 62 )
다. 여기에서 하나님은 인간의 상대자로서 하나님이요, 언약을 수행하시는 하나님이시다. 바르트는 18C 합리주의 , 슐라이어 마허 , 그리고 불트만의 비신화화 에 이르는 모든 신학들을 십계명 제 3계명의 정신에 위배되는 신학으로 규정했고 19세기 文化 개신교는 신앙고백의 제 3 조항 즉 성령의 조항을 소홀히 한 것으로 비판했다. 바르트는 생의 후반부에서 성령론적 관점에서 인간과 文化에 관련되어 긍정에 긍정을 더하는 긍정적 신학을 말했다. ”라고 까지 말한다.
1968 년 슐라이어 마허 탄생 200 주년을 기념하는 ‘슐라이어 마허 선집’ 뒷자리 말의 형식 속 에서 19세기 신학의 아쉬운 점을 지적하면서 슐라이어 마허가 성령의 신학에 가능성을 두지 않 았음을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