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전기 호장의 기능과 외관의 성격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22 23:50
본문
Download : 고려전기 호장의 기능과 외관의 성격.hwp
이는 무엇보다 읍사에 대해 공해전이 지급되었다는 데서 잘 나타난다. 이는 외관이 파견되지 않은 속현이라 하더라도 하나의 단위 군현으로서 지방지배 내지 운영의 단위가 되는 것을 의미한다. 주지하듯이 성종 2년에는 지방관아의 공해전이 분급되었는데, 이 때 분급 기준은 외관의 유무가 반영되지 않았으며, 규모에 따라 차등을 두었을 뿐이다. 한편 공안을 수정하게 되면 당연히 수정자의 인신이 찍혀야 하므로 이를 통해서도 읍사 인신의 존재를 파악할 수 있따 이 역시 읍사가 호적을 보관하고 진성을 발급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읍사가 외관과 구분되는 행정관부로서 존재하였음을 잘 보여준다.
고려전기 호장의 기능과 외관의 성격
한편 인용문의 후반부는 장성감무관이 장성군사에 첩을 보내어 시달한 최종 정령의 내용으로서 촌복공안에 법손의 전계를 추록하고 보고하라는 의미로 해석된다 따라서 이 공안은 군사에서 보관하는 것으로서 외관은 그 내용에 대한 수정을 첩을 통해 지시할 뿐 공안 자체를 관리하는 것은 아니었다. 그리고 향·부곡에도 공해전이 지급되었다.
이처럼 고려의 군현은 외관의 소재 여부에 상관없이 읍사가 독자적인 행정 관부로서 인신을 보유하고 행정관부로서 기능하였다. 이는 공해전의 분급이 외관을 대상으로 한 것이 아니라 읍사를 대상…(투비컨티뉴드 )
한편 인용문의 후반부는 장성감무관이 장성군사에 첩을 보내어 시달한 최종 정령의 내용으로서 촌복공안에 법손의 전계를 추록하고 보고하라는 의미로 해... , 고려전기 호장의 기능과 외관의 성격법학행정레포트 ,
한편 인용문의 후반부는 장성감무관이 장성군사에 첩을 보내어 시달한 최종 정령의 내용으로서 촌복공안에 법손의 전계를 추록하고 보고하라는 의미로 해...
설명
순서
Download : 고려전기 호장의 기능과 외관의 성격.hwp( 64 )
,법학행정,레포트






레포트/법학행정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