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합원의 범위에 관에 단체협약 규정의 효력 관련 쟁점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21 08:38
본문
Download : 조합원의 범위에 관한 단체협약 규정의 효력 관련 쟁점.hwp
공제?수양 기타 복리사업만을 목적으로 하는 경우
라. 근로자가 아닌 자의 가입을 허용하는 경우. 다만, 해고된 자가 노동위원회에 부당노동행위의 구제신청을 한 경우에는 중앙노동위원회의 재심신청이 있을 때까지는 근로자가 아닌 자로 해석하여서는 아니 된다
마. 주로 정치운동을 목적으로 하는 경우
2…(To be continued )다.
가. 사용자 또는 항상 그의 이익을 대표하여 행동하는 자의 참가를 허용하는 경우
나. 경비의 주된 부분을 사용자로부터 원조받는 경우
다.
근로자 여부를 판단할 때에는 업무의 시간적.장소적 지휘 감독과 출퇴근의 제약을 받는지의 여부 등이 중요시된다
4. ‘노동조합’이라 함은 근로자가 주체가 되어 자주적으로 단결하여 근로조건의 유지?improvement과 근로자의 경제적?사회적 지위의 향상을 도모함을 목적으로 조직하는 단체 또는 그 연합단체를 말한다.
제 2조【definition
】
1. ‘근로자’라 함은 직업의 종류를 불문하고 임금?급료 기타 이에 준하는 수입에 의하여 생활하는 자를 말한다.
Download : 조합원의 범위에 관한 단체협약 규정의 효력 관련 쟁점.hwp( 25 )
설명
조합원의 범위에 관에 단체협약 규정의 효력 관련 쟁점
레포트/법학행정


조합원,범위,관,단체협약,규정,효력,관련,쟁점,법학행정,레포트
조합원의 범위에 관에 단체협약 규정의 효력 관련 쟁점 , 조합원의 범위에 관에 단체협약 규정의 효력 관련 쟁점법학행정레포트 , 조합원 범위 관 단체협약 규정 효력 관련 쟁점
조합원의 범위에 관에 단체협약 규정의 효력 관련 쟁점
순서
조합원의 범위에 관한 단체협약 규definition 효력 관련 쟁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