퇴계 인식론의 문학적 반응과 상상력의 구조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07 00:02
본문
Download : 퇴계 인식론의 문학적 반응과 상상력의 구조.hwp
그 일치하는 구체적 방법이 바로 ‘지경’이다. 천도(혹은 자연)와 인도가 합일 된다는 것은, …(drop)
,인문사회,레포트
순서
설명
Download : 퇴계 인식론의 문학적 반응과 상상력의 구조.hwp( 93 )
다. 성리학의 도를 문학에 담고자 할 때, 그 최고의 표현형태 혹은 경지를 ‘천인합일’이라 부른다. 이것은 ‘지경’과 연결되어 있다. ‘천인합일’이란 엄격한 의미에서 문학적 표현은 아니지만 성리학에서 설정하고 있는 가장 이상적인 세계라는 것이다. ‘지경’으로 마음이 온전하게 작용한다면 천지화육의 작용 그것이 되며 궁극적으로 사물의 ‘리’와 나의 ‘리’가 화합하여 하나가 된다는 것이다.
레포트/인문사회
퇴계문학에는 순차적 시간성 뿐만 아니라 융합적 공간 또한 설정되어 있다. 여기서의 천과 인이라고 한 것은 ‘천도’와 ‘인도’, 혹은 ‘자연’과 ‘인사’로 바꿔 말할 수 있을 것이다. ‘심’의 작용인 ‘사’는 마음 속에 ... , 퇴계 인식론의 문학적 반응과 상상력의 구조인문사회레포트 ,
퇴계 인식론의 문학적 반응과 상상력의 구조
퇴계문학에는 순차적 시간성 뿐만 아니라 융합적 공간 또한 설정되어 있다 이것은 ‘지경’과 연결되어 있다 ‘심’의 작용인 ‘사’는 마음 속에 ...






퇴계문학에는 순차적 시간성 뿐만 아니라 융합적 공간 또한 설정되어 있따 이것은 ‘지경’과 연결되어 있따 ‘심’의 작용인 ‘사’는 마음 속에 내재하는 ‘리’와 사물 속에 내재하는 ‘이’의 일치를 가능케 한다.
‘천도’와 ‘인도’가 하나로 융합되는 것은 맹자가 ‘그 마음(심)을 극진히 하는 사람은 그 성품(성)을 지각하게 되고, 그 성품을 지각할 수 있다면 하늘(천)을 지각할 수 있다’고 말한 데서도 찾을 수 있따 이처럼 인간의 ‘심’과 ‘성’, 그리고 ‘천’이 본질적으로 다르지 않다는 것을 유가는 진작부터 강조해 왔던 것이다. ‘천인합일’이라 표현한 것이 바로 이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