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용가 해석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02-21 21:08
본문
Download : 처용가 해석.hwp
2.어구풀이
(전강) 신라성대소성대
천하태평라후덕
▶나후
◇양주동- 일식신 라후의 화신으로 간주하면서 한편 석존의 적자로서 잉태된 지 6년만에 출생한 라후라와 관계되는 것으로 보아 신라 처용설화의 처용의 참을성 있는 행위와 연결시켰다. 또한 왕으로서 쓰는‘라후’라는 말은 조금은 폄시하는 말이기 때문에 고려나 조선에서 신라왕을‘라후’라고 부를 리는 없다고 하여 김동욱의 견해를 반박했다.
설명
처용가완성본97
,기타,레포트
처용가 해석
처용가 전문과 어구 풀이가 되어 있습니다.
◇최철- 신라에서 벼슬을 한 사람. 삼국유사를 보면 처용에게 급간(급간)벼슬을 내린 부분이 있다아
처용아바
▶아바- 아비여, ‘압(부)’에 호격접미사 ‘아’가 붙은 것
이시life(인생) 애 상불어시란
(부엽) 삼재팔난 삼재는 불교에서 세계가 파멸할 때 일어난다는 세 가지 재해. 전란·질병·기근의 소삼재(소삼재)와 화재(화재)·수재(수재)·풍재(풍재)의 대삼재(대삼재)가 있음. 팔난은 여덟 가지의 재난. 곧, 배고픔·목마름·추위·더위·물·불·병란·칼.
이 일시소멸샷다
▶이시life(인생) 애-이로써 life(인생) 에
▶란대- 조건을 나타내는 어미로 (~을 것 같으면)의 뜻
▶이시life(인생) 애 상(상)불어시란 삼재팔난이 일시소멸샷다-
◇서대석-사람이 살면서 서로 말하지 않을 것 같으면 삼재와 팔난이 일시에…(skip)
레포트/기타
Download : 처용가 해석.hwp( 75 )
순서






처용가 전문과 어구 풀이가 되어 있습니다.
◇김동욱- 라후는 신라의 군후 즉 라왕이고 ‘라후덕’은 ‘라왕덕’으로 보아진다고 하였다.
◇박병채, 김형규- 일식신과 라후라 둘 다 연관을 가진 처용을 뜻하는 말로 보아 양주동과 같은 견해를 보였다. 처용가완성본97 , 처용가 해석기타레포트 ,
다.
◇서대석- 라후가 처용을 가리키는 것으로 보나, 라후라와는 별개의 존재로 혼합되어 논의할 대상이 아니라고 보았다. 즉,삼국유사에 수록된 신라 처용랑 설화에서 운무로 일광을 가려 헌강왕 일행으로 하여금 길을 잃게 한 동해용의 행위를 일식현상을 설화적으로 표현한 것이라고 보고 자기 아내와 동침하는 역신을 보고 화를 내지 않았다는 처용의 행위를 인욕행으로 해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