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의 군사조직과 김제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09-18 13:15
본문
Download : 조선의 군사조직과 김제.hwp
통 밑에는 약간의 여(旅)가 있고, 여는 5대(隊)로 나뉘고, 대는 5오(伍)로 나뉘어 오가 분대(分隊)와 같은 최하위 단위로, 1오는 5명으로 이루어졌다. 5위에는 장(將:종2품, 타관이 겸임) 12명, 상호군(上護軍:정3품) 9명, 대호군(大護軍:종3품) 14명, 호군(護軍:정4품) 12명, 부호군(副護軍:종4품) 54명, 사직(司直:정5품) 14명, 부사직(副司直:종5품) 125명, 사과(司果:정6품) 15명, 부장(部將:종6품) 25명, 부사과(副司果:종6품) 176명, 사정(司正:정7품) 5명, 부사정(副司正:종7품) 309명, 사맹(司猛:정8품) 16명, 부사맹(副司猛:종8품) 483명, 사용(司勇:정9품) 42명, 부사용(副司勇:종9품) 1,939명을 두었다. 5위의 구성을 보면 각 위(衛)에 중(中)·좌(左)·우(右)·전(前)·후(後)의 5부(部)가 있어 모두 25부가 되고, 각 부에 4통(統)이 있어 1위에 20통, 5위에 100통이 있었다. 그 후 3군에 속한 10위는 10사(司)로 개편되어 12사로 되었다가 1451년(문종 1) 5사로 다시 개편되었고, 57년(세조 3) 3월 5위제도로 개편하여 이 때까지 의흥삼군부를 대신해서 3군을 통제해오던 3군진무소(三軍鎭撫所)를 5위진무소로 개편하여 5위를 지휘 감독하는 최고 군령기관(軍令機關)으로 하였다. 요즈음의 군대 편제로 보면 위(衛)는 사단(師團), 부는 연대, 통은 대대, 여(旅)는 중대, 대(隊)는 소대, 오(伍…(생략(省略))
레포트/기타






설명
조선 전기의 중앙 군제(軍制). 1393년(태조 2) 태조는 고려 때의 삼군총제부(三軍摠制府)를 의흥삼군부(義興三軍府)로 개칭하여 여기에 종래의...
조선 전기의 중앙 군제(軍制). 1393년(태조 2) 태조는 고려 때의 삼군총제부(三軍摠制府)를 의흥삼군부(義興三軍府)로 개칭하여 여기에 종래의... , 조선의 군사조직과 김제기타레포트 ,
Download : 조선의 군사조직과 김제.hwp( 13 )
,기타,레포트
다. 그 후 5위진무소는 66년 5위도총부(五衛都摠府)로 개칭하여 중위(中衛)인 의흥위(義興衛), 좌위(左衛)인 용양위(龍A衛), 우위(右衛)인 호분위(虎賁衛), 전위(前衛)인 충좌위(忠佐衛), 후위(後衛)인 충무위(忠武衛) 등 5위를 관장하였다.
조선의 군사조직과 김제
순서
조선 전기의 중앙 군제(軍制). 1393년(태조 2) 태조는 고려 때의 삼군총제부(三軍摠制府)를 의흥삼군부(義興三軍府)로 개칭하여 여기에 종래의 10위군(衛軍)을 중·좌·우군의 3군으로 나누어 귀속시켜 최초의 강력한 중앙군사체제를 갖추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