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일 독립운동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09 16:29
본문
Download : 항일 독립운동사.hwp
1945년 8월 15일 우리는 갑작스런 일제 패망의 소식에 기뻐했으나 결코 그것이 연합국의 승리가 우리에게 안겨다 준 선물이 아닌 것을 알고 있었다.
셋째로 우리는 일제 침략을 맞아 힘없이 굴복하고 순종한 민족이 아니라 굳고 곧은 독립정신을 갖고 끝까지 항일운동을 벌인 민족이란 사실을 기억하여야 할 것이다. 그러나 이 첫 시도는 성공하지 못하고 대책없는 문호개방과 일제침략으로 이어져 나갔다. 전반적인 내용의 구성은 목차와 내용미리보기를 참고하시고요.필요한 분에게 많은 활용이 되기를 바랍니다. ^^
Download : 항일 독립운동사.hwp( 23 )
항일 독립운동사
레포트/인문사회
설명






항일 독립운동의 history에 관련되어 자세하게 정리(arrangement)된 자료(data)입니다. 고생은 개인이나 민족에게 있어 더없이 귀중한 교훈이라고는 하지만 두 번 다시 그런 고생을 하게 된다면 그토록 어리석고 비참한 일은 없는 것이다. 대원군의 일대 혁신정치가 시도되었으니 이것이 우리나라 근대사의 스타트이다. 그런 비극을 겪지 않기 위해 우리는 우리가 겪은 민족 수난의 歷史를 길이길이 마음에 새겨 두어야 하는 것이다. 우리의 선열들이 피와 땀으로 얻어낸 광복이었다는 사실을 분명히 알고 있었던 것이다.
넷째로 우리들 내부에 사회주의를 맹신하는 사람들이 생겨 이 나라 이 민족을 분열시키더니 마침내는 민족 상잔의 6·25 남침을 도발하고 말았다.
그러나 우리에게는 반세기에 걸친 독립운동의 歷史와 여러index 통일과업을 완수한 歷史를 갖고 있따 이것을 밑거름으로 기필코 통일의 과업을 완수할 수 있다고 확신하며 통일운동이야말로 제2의 광복운동이라는 정신으로 포기하지 말고 끈질기게 도전해 나가야 하는 것이다. 모두 A+ 받으시길 바랍니다. 모두 A+ 받으시길 바랍니다. 결코 잊어서는 안되는 것이다. 광복 50주년이 지난 오늘날 이 지구상에 단하나의 분단국으로 남게 된 것도 바로 그 때문인 것이다.
제1장 일제침략의 서곡-개요
1864년. 기울어져 가는 국운을 되살리기 위하여 갑자유신甲子維新이 선포되었다. 그 결과 얻어낸 것이 자주독립이요 광복이었던 것이다. 우리는 50년이란 사상 유례없는 장기 항전을 계속하였다.
1876년 우리나라는 일본의 외교에 굴복하여 강화도조약(병자수호조…(To be continued )
,인문사회,레포트
순서
항일 독립운동의 역사에 대해서 자세하게 정리된 자료입니다.필요한 분에게 많은 활용이 되기를 바랍니다. ^^ , 항일 독립운동사인문사회레포트 ,
다. 전반적인 내용의 구성은 목차와 내용먼저보기를 참고하시고요.
제1장 일제침략의 서곡-15
1절. 쇄국과 개항-17
1. 갑자유신과 쇄국정치-17
2. 정한론의 대두-21
3. 강화도 피습과 개항-22
2절. 혼란의 연속-26
1. 임오항일군란-26
2. 갑신정변-29
3. 동학농민봉기-31
제2장 일제침략의 스타트과 민족의 저항-35
1절. 항일 의병전쟁의 발발-37
1. 청일전쟁-37
2. 갑오왜란-39
3. 을미사변-41
4. 단발령-44
5. 을미의병-46
6. 의병전쟁의 歷史적 의의-49
2절. 근대화의 좌절-52
1. 아관파천-52
2. 독립협회-54
3. 만민공동회-56
4. 여우회女友會-60
5. 광무개혁-62
제3장 의병전쟁의 재발-67
1절. 러일전쟁과 을사5조약-69
1. 러일전쟁-69
2. 황무지 개간권의 강요-72
3. 일진회一進會의 조직-74
4. 을사5조약-77
5. 통감정치-79
2절. 을사5조약 반대투쟁-83
1. 을사 순국 열사-83
2. 을사항소투쟁-90
3. 기산도·나인영 의거-92
4. 국채보상운동-95
5. 헤이그특사-98
6. 을사의병-100
7. 병오의병-102
제4장 의병전쟁의 확대·발전-107
1절. 고종황제 퇴위와 경술국치-109
1. 황제 강제퇴위-109
2. 정미7조약-112
3. 경술국치-115
2절. 국민전쟁으로 발전-120
1. 한국군의 항쟁-120
2. 13도 창의군-123
3. 장인환·전명운 의거-129
4. 안중근 의거-132
5. 안중근 의사의 최후-139
6. 이재명 의거-143
제5장 암흑시대와 민족의 수난-147
1절. 무단통치와 민족의 이산-149
1. 암흑시대의 스타트-149
2. 간도로 쫓겨가는 농민들-152
3. 빼앗긴 들녘-156
4. 무단통치-158
5. 양반의 몰락-161
6. 망국의 책임소재-164
2절. 암흑시대의 독립운동-168
1. 105인 사건-168
2. 대한독립의군부-171
3. 대한광복회-173
4. 독립군 기지의 건설-177
5. 국민군단-180
6. 청도회담-182
제6장 3·1운동과 민족의 각성-185
1절. 3·1운동의 歷史적 의의-187
1. 2·8 독립선언-187
2. 파고다 공원의 함성-190
3. 3·1운동의 influence(영향)-193
4. 동방의 빛-195
5. 3·1정신-197
6. 3·1운동과 남북통일-200
7. 순수한 자주적 혁명-202
8. 3·1정신의 뿌리-203
9. 3·1정신과 통일정신-207
2절. 독립운동의 발전-208
1. 파리장서운동-208
2. 미국의원단 환영대회-210
3. 관동대지진-213
4. 광화문과 경복궁의 수난-218
5. 서당과 계의 부활-220
6. 조선공산당-222
7. 6·10만세운동-225
8. 잇따른 동맹휴학-230
9. 광주학생운동-233
제7장 임시政府(정부)의 수립과 독립전쟁-239
1절. 임시政府(정부)의 수립과 활동-241
1. 신규식과 신한청년단-241
2. 세 개의 임시政府(정부)-243
3. 통합政府(정부)의 성립-246
4. 연통제-248
5. 독립외교-250
6. 국민대표회의-254
7. 고려공산당-254
2절. 독립전쟁의 개시-258
1. 삼둔자 전투-258
2. 봉오동 전투-259
3. 훈춘사건-262
4. 일본군의 간도침략-265
5. 북로군정서-26
6. 북간도 군사통일회의-268
7. 청산리 대첩-269
8. 경신참변과 흑하사변-272
9. 서 일-278
10. 김좌진-280
3절. 의열투쟁의 전개-283
1. 강우규의 서울 의거-283
2. 의열단의 결성-286
3. 김익상의 서울·상해 의거-289
4. 김상옥의 서울 의거-292
5. 김지섭의 동경 의거-295
6. 김지섭의 최후-299
7. 나석주의 서울 의거-300
8. 심산 김창숙-304
제8장 일제의 발악과 민족 최후의 결전-309
1절. 일제의 최후 발악-311
1. 1929년의 대공황-311
2. 일제의 만주침략-313
3. 일제의 中國침략과 황민화정책-316
4. 태평양전쟁의 발발 황민화정책-316
2절. 민족 말살 정책-323
1. 허울좋은 자력갱생-323
2. 재일동포의 고난-325
3. 일제식민사관-327
4. 제사의 폐지-329
5. 인간사냥, 징용-331
6. 근로보국대-333
7. 국방헌금의 강징-335
8. 여자정신대-337
3절. 민족 최후의 결전-339
1. 이봉창 의거-339
2. 윤봉길 의거-342
3. 독립전쟁의 전개-346
4. 국외무장운동단체-348
5. 조선의용대-349
6. 조선의용군-354
7. 조선건국동맹-356
8. 부민관 사건-358
9. 임시政府(정부)와 건국강령의 선포-360
10. 광복군-361
제9장 8·15 광복과 그 교훈-369
1절. 8·15의 歷史적 의의-371
1. 아! 8·15 광복-371
2. 8·15의 민족사적 의의-373
3. 우리의 자세-377
2절. 독립운동사의 교훈-378
1. 자주정신-378
2. 대동단결-380
3. 개인주의의 배격-382
둘째로 알아야 할 것은 한 번 나라가 망하고 이민족의 학정을 받게 되면 그 나라의 백성들이 얼마나 고생하게 되는지 상상하기 어렵다는 사실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