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복지] 행동주의理論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04-01 21:37
본문
Download : [사회복지] 행동주의이론.hwp
인간 행동은 선행하는 사건 즉 선행요인과 뒤이어 일어나는 사건 즉 결과에 의해 일어난다고 보고 있으며 선행요인의 Cause 이 되는 자극을 조정함으로 결과인 reaction response 즉 행동을 통제할 수 있다고 본다.
7. observe학습 8. 대리적 조건화와 학습
(2) 인간이 어느정도 합리적 존재인가에 대한 관점의 차이이다. Skinner는 environment적 요인에 의해 인간본성이 결정된 다고 보는 기계론적 environment론의 입장을 취하고 있으며, Bandura는 인간행동은 인지특성, 행동, environment이 서로 상호작용한 결과라고 보는 상호적 결정론의 입장을 취하고 있다
![[사회복지] 행동주의이론-4724_01_.jpg](http://www.happyreport.co.kr/prev/201711/%5B%EC%82%AC%ED%9A%8C%EB%B3%B5%EC%A7%80%5D%20%ED%96%89%EB%8F%99%EC%A3%BC%EC%9D%98%EC%9D%B4%EB%A1%A0-4724_01_.jpg)
![[사회복지] 행동주의이론-4724_02_.jpg](http://www.happyreport.co.kr/prev/201711/%5B%EC%82%AC%ED%9A%8C%EB%B3%B5%EC%A7%80%5D%20%ED%96%89%EB%8F%99%EC%A3%BC%EC%9D%98%EC%9D%B4%EB%A1%A0-4724_02_.jpg)
![[사회복지] 행동주의이론-4724_03_.jpg](http://www.happyreport.co.kr/prev/201711/%5B%EC%82%AC%ED%9A%8C%EB%B3%B5%EC%A7%80%5D%20%ED%96%89%EB%8F%99%EC%A3%BC%EC%9D%98%EC%9D%B4%EB%A1%A0-4724_03_.jpg)
![[사회복지] 행동주의이론-4724_04_.jpg](http://www.happyreport.co.kr/prev/201711/%5B%EC%82%AC%ED%9A%8C%EB%B3%B5%EC%A7%80%5D%20%ED%96%89%EB%8F%99%EC%A3%BC%EC%9D%98%EC%9D%B4%EB%A1%A0-4724_04_.jpg)
![[사회복지] 행동주의이론-4724_05_.jpg](http://www.happyreport.co.kr/prev/201711/%5B%EC%82%AC%ED%9A%8C%EB%B3%B5%EC%A7%80%5D%20%ED%96%89%EB%8F%99%EC%A3%BC%EC%9D%98%EC%9D%B4%EB%A1%A0-4724_05_.jpg)
[사회복지] 행동주의理論
1절 인간관 제 2절 기본가정 1. Skinner의 행동주의의 기본가정 2. Bandura의 사회학습이론의 기본가정 제 3절 주요개념 1. 고전적 조건화와 반응적 행동 2. 조작적 조건화와 조작적 행동 3. 변별자극 4. 강화와 벌 5. 행동조성 6. 일반화 7. 관찰학습 8. 대리적 조건화와 학습 9. 자아강화와 자아효능감 제 4절 행동발달에 대한 관점 제 5절 사회체계에 대한 이해 1. 가족과 집단 2. 지역사회와 조직 3. 사회문화체계 제 6절 사회복지 실천에의 적용 1. 적응행동과 중상에 대한 관점 2. 치료목표 3. 치료자의 역할과 실무원칙 4. 치료적 기법 * 행동주의 이론의 장. 단점 * 행동치료 사례
1. 適應(적응)행동과 중상에 대한 관점
다. Skinner는 인간본성의 합리성에 대해 논의 자체를 거부하였지만, Bandura는 인간은 자신의 인지적 능력을 고려하여 합리적 행동을 계획 할 수 있다고 보았다.
2. 치료목표(目標)
5. 행동조성 6. 일반화
3. 사회文化(문화)체계
9. 자아강화와 자아효능감
1. 공통점
제 2절 기본가정
제 4절 행동발달에 대한 관점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3) 觀察가능한 행동에 초점을 두고 있기 때문에 과학적 연구를 통하여 인간본성을 설명할 수 있다
1. Skinner의 행동주의의 기본가정
3. 변별자극 4. 강화와 벌
순서
4. 치료적 기법
2. 지history회와 조직
2. Bandura의 사회학습理論의 기본가정
행동주의 이론은 인간행동의 대부분은 학습되거나 학습에 의해 수정된다는 기본전제에 근거를 두고 있기 때문에 학습이론이라고도 불린다.
Download : [사회복지] 행동주의이론.hwp( 67 )
* 행동치료 사례(instance)
1. 고전적 조건화와 반응적 행동 2. 조작적 조건화와 조작적 행동
3. 치료자의 역할과 실무원칙
* 행동주의 理論의 장. 단점
제 5절 사회체계에 대한 이해
제 6절 사회복지 실천에의 적용
(2) 인간본성이 가변적 속성을 지니고 있다는 정을 인정하고 있다
제 3절 주요槪念
행동주의에는 Skinner의 전통적 행동주의와 Bandura의 인지적 행동주의가 있는데 이에 공통점과 차이점이 있다
(1) 인간행동의 결정요인에 대한 시각의 차이이다.
제 1절 인간관
설명
2. 차이점
사회복지,행동주의이론
1. 가족과 집단
1절 인간관
(1) 인간의 행동을 불러일으키는 요인은 environment적 자극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