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P] 향가와 사뇌가 그 구분 및 향가의 특성(特性)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05-26 01:32
본문
Download : 향가와 사뇌가 그 구분 및 향가의 특.hwp
②사뇌가(詞腦歌)란 이름이 담고 있는 뜻과 향가와의 관계
우선 향가에서 ‘가’는 노래(歌)를 의미함을 알 수 있다아 그럼 문제가 되는 것은 ‘향’이다. 물론 그 말이 가리키는 범위나 다른 조건들을 생각해 보면 또 다른 논쟁거리가 생기겠지만, 우선 우리의 노래로서의 것이라는, 큰 의미로서 받아들이면 될 듯하다. 향가란 말이 그때 처음 쓰였지만 향가로 불린 노래들이 그 이전에 있었다는 기록이 있는데, 『삼국유사』《월명사(月明師) 두솔가(兜率歌)》에 있는 기록과 『삼국사기』에 보면, 진성왕때 888년에 향가를 모아 편찬한 『삼대목』이 있었음을 말해주고 있다아 이런 기록들에서 보면 ‘향가’란 말은 노래 자체보다 훨씬 더 뒤의 시기에 사용됐음을 알 수 있다아
․향인(鄕人)-우리나라 사람.
그리고『삼국유사』에서 경덕왕이 충담사에게 찬기파랑가에 대해 말하면서 그것을 사뇌라 일컫고 있고, 그것을 한역한 최행귀의 글에서는 11수의 향가는 말이 맑고 구절이 아름다우므로 그 작품을 사뇌라고 일컫는다라고 했다. 그래서 찬기파랑가가 갖고 있는 특징을 살펴보아 그러한 특징을 가진(11분절의 10구체 향가) 향가들을 묶어 사뇌가라고 하고 그것을 향가의 한 갈래로 보는 것이다. 그리고 사뇌라는 말뜻을 생각해 보면, 먼저 ‘사
.





향가와 사뇌가 그 구분 및 향가의 특성(特性)
다. 신라에서 고려로 시대가 이어지면서도 사뇌라는 단어가 계속 사용된 것을 볼 수 있는데 이것은 사뇌가 향가의 한 갈래의 하나로서 사용된 것으로 볼 수 있다아 그래서 찬기파랑가에 사뇌라는 말을 붙인 것은 뜻이 높아 사뇌(사뇌가)로써의 특징을 잘 보여주고 있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겠다.
설명
Download : 향가와 사뇌가 그 구분 및 향가의 특.hwp( 15 )
향가와 사뇌가 그 구분 및 향가의 특성 향가와 사뇌가 그 구분 및 향가의 특성 향가와 사뇌가 그 구분 및 향가의 특성
․향칭(鄕稱), 향운(鄕云)-우리나라에서 말하기를.
․향악(鄕樂)-우리나라의 음악.
사뇌가라는 말이 등장한 가장 오랜 기록 역시 『균여전』(1075년)에서 이다. 향이 쓰인 여러 문헌들에서의 예를 살펴보자.
향가와 사뇌가 그 구분 및 향가의 특성(特性)
․향언(鄕言), 향어(鄕語)-우리나라 말.
.
위의 예처럼 ‘향’은 ‘우리나라’, ‘우리겨레’의 뜻으로 사용되어 왔음을 볼 수 있다아 그런 것으로 미뤄보다 향가에서의 ‘향’도 그렇게 받아들여 ‘우리나라의 노래’라는 것을 말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겠다. 하지만 ‘사뇌’라는 단어는 그보다 앞서 서기 28년 유리왕 때의 일에 나타나있다아 『삼국유사』에 보면 “비로소 두솔가(도솔가)를 지으니 감탄하는 말과 사뇌의 풍격이 있다아”라고 하고 있다아
①향가(鄕歌)란 이름이 담고 있는 뜻
레포트 > 인문,어학계열
향가와 사뇌가 그 구분 및 향가의 characteristic(특성)
․당향(唐鄕)-당나라와 우리나라.
향가와 사뇌가 그 구분 및 향가의 특성(特性)
향가와 사뇌가 그 구분 및 향가의 특성(特性)
.
향가 혹은 사뇌가의 그 성격을 엿볼 수 있는 부분을 살펴보다 보면 그것을 ‘향가’, ‘사뇌가’라는 단어 중 하나를 통일하여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이렇게도 저렇게도 사용하는 것을 볼 수 있다아 향가 혹은 사뇌가의 성격을 말해줄 그것 들을 살펴보기 위해서는 우선 용어에 대한 정확한 정리(arrangement)가 필요할 것이다.
순서
향가와 사뇌가 그 구분 및 향가의 특성
향가로 쓰인 기록이 있는 가장 오래된 책은 『균여전』(1075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