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원 형용사 大의 의미와 기능에 대한 인지 의미론적 고찰 / 차원 형용사 ‘大’의 의미와 기능에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03 17:39
본문
Download : 차원 형용사 大의 의미와 기능에 대한 인지 의미론적 고찰.hwp
5.2 동사와의 결합 상황
1. 들어가는 말
4. ‘多’와의 비교를 통한 ‘大’의 기능
b. 霧這 多還要給誰看 5)
2.1 사전 의미의 고찰
b. 오늘 안개가 이렇게 많이(자욱하게) 꼈는데 누구에게 보여주겠니
5. ‘大’와 ‘多’의 실제 결합 상황에 대한 고찰
차원 형용사 ‘大’의 의미와 기능에 대한 인지 의미론적 고찰 1. 들어...
參考文獻
3.2 통사적 분포 및 기능
차원 형용사 大의 의미와 기능에 대한 인지 의미론적 고찰 / 차원 형용사 ‘大’의 의미와 기능에
설명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2.4 의미망의 구성 은유적 확장 모델
차원 형용사 大의 의미와 기능에 대한 인지 의미론적 고찰 / 차원 형용사 ‘大’의 의미와 기능에
순서
2.3 상위 언어로서의 ‘大’
2.2 ‘大’의미의 양적 분석
Download : 차원 형용사 大의 의미와 기능에 대한 인지 의미론적 고찰.hwp( 66 )
(2) a. 오늘 안개가 이렇게 크게 꼈는데 누구에게 보여주겠니
(1) a. 霧這 大還要給誰看
1. 들어가는 말
3.3 부가 기능
〈 目 次 〉
5.1 명사와의 결합 상황
인지 의미론적 고찰
3. ‘大’의 분포와 기능
6. 맺음말
3.1 형태적 분포
2. ‘大’의 의미 characteristic(특성)





차원 형용사 ‘大’의 의미와 기능에 대한
차원 형용사 ‘大’의 의미와 기능에 대한 인지 의미론적 고찰 1. 들어...
인간은 세계에 대한 인식을 언어 형식으로 표현해 낸다. 아래의 예문을 보자.
(1)은 중국(中國)어 예문이고 (2)는 이에 상응하는 우리말 역이다. ...
다.1) 모든 언어에는 이와 같은 양적 표현들이 존재한다. 위의 문장만을 놓고 본다면 중국(中國)어에서는 안개가 낀 상황을 ‘크다’라는 의미의 ‘大’를 써서 표현하는 반면 우리말에서는 ‘많다’로 해석하는 것이 자연스럽다.4) 중국(中國)어의 경우도 大마찬가지로 우리말 ‘크다’에 해당하는 ‘大’가 있다. 한편 이와 같이 인간 언어에서 차원 형용사 “大”가 지니는 보편성이 모든 언어에 동일한 형태의 양적 표현을 보장하는 것으로 보이지는 않는다. 인간의 세계-질(質)에 대한 인식을 인간이 파악할 수 있는 “양(量)”으로 표현하는 것이다.3) 그중 ‘크다’를 의미하는 어휘는 어린이가 가장 먼저 습득하는 형용사이기도하다. 중국(中國)어에서는 (1-a)가 자연스러운 반면 우리말에서는 (2-b)가 자연스럽다. 그 중 사물의 크기에 대한 양적 표현은 차원 형용사2)에 의해 주로 이루어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