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 [입학사정관제도]입학사정관제의 정의(定義) 및 특징, 장단점 이해, 입학사정관제 도입에 따른 찬반논란(긍정적, 부정적…
페이지 정보
작성일 19-11-23 04:41본문
Download : 입학사정관제.hwp
2) 모집단위별 입학전형의 characteristic(특성)화
즉 내신이나 수능 등 교과목 성적만으로는 학생의 다양한 능력을 제대로 측정할 수 없기 때문에 이를 보완하고 improvement하기 위한 새로운 평가 방식이 바로 입학사정관제라고 할 수 있따
2) 대학별 도입 내역
2. 입학사정관제(入學査定官制)
설명
순서
입학사정관제, 장점, 단점, 정의, 특징, 찬성, 반대, 효과, 논란, 쟁점
Download : 입학사정관제.hwp( 81 )
교육계의 `핫 이슈`, 입학사정관제에 대한 찬반논란을 주제로 열심히 조사한 레포트입니다. [참고자료] ▶ 한국대학교육협의회, 대학입학사정관제 안내 책자 6p, http://www.kcue.or.kr/ ▶ 박종렬, 한국대학교육협의회 사무총장, 대입전형의 자율화와 입학사정관제, 교육개발, 76~79p, 2009. 봄 ▶ 박남기, 광주교대 총장, 입학사정관제 도입 성공을 위한 전제 조건, 입학사정관제 정착의 화두, 공정성, 14~22p, 2009.05 ▶ 박남기 외 4인(2008), 대학입학사정관제의 공정성 확보 방안 연구, 한국대학교육협의회 ▶ 대학 자율화 및 질 제고와 대학입학전형제도, 서민원, 한국교육평가학회, 교육평가연구 제21권 제3호, 2008. 9, pp. 93 ~ 120 (28pages) ▶ 이소아 기자, 대입 때 개인 환경, 소질 반영, 매일경제, 2007.07.11 ▶ 박준형 기자, NEWSIS, 2009학년도 대입…입학사정관제도란, 2008.03.13 ▶ 김희동, 진학사, 조선일보, 입학사정관제 49개교로 확대, 2009.01.11 ▶ 입학사정관제의 양면, 한겨레, 이윤미 홍익대 교육학과 교수, 2009.03.15
입학사정관제는 기존의 시험 성적 위주의 학생선발이 지니고 있는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 도입된 제도라고 할 수 있따 그렇다면 기존의 시험성적 위주의 학생선발이 갖고 있던 문제점은 무엇인지, 입학사정관제를 통해서는 어떠한 방식으로 이를 보완해 나갈 수 있는 것인지 살펴보도록 하자.
2) 입학사정관제의 피료썽 (찬성 意見)
1) 입학사정관제의 피료썽 (찬성 意見)
1. 입학사정관제 도입 논란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 이소아 기자, 대입 때 개인 환경, 소질 반영, 매일경제, 2007.07.11
바) 턱없이 부족한 입학사정관과 미흡한 운용 체제
[참고data(資料)] ▶ 한국대학교육협의회, 대학입학사정관제 안내 책자 6p, http://www.kcue.or.kr/





라) 대교협에서 주장하는 입학사정관제의 기대效果
▶ 박남기, 광주교대 총장, 입학사정관제 도입 성공을 위한 전제 조건, 입학사정관제 정착의 화두, 공정성, 14~22p, 2009.05
목차
라) 대학입시에 맞춰진 초점, 입학사정관제로 돌릴 수 있을까?
마) 생활기록부의 신뢰성 회복이 전제되어야
▶ 박종렬, 한국대학교육협의회 사무총장, 대입전형의 자율화와 입학사정관제, 교육개발, 76~79p, 2009. 봄
5) 사회적 합의의 피료썽
참고資料
교육계의 `핫 이슈`, 입학사정관제에 대한 찬반논란을 주제로 열심히 조사한 레포트(report) 입니다.
3) 우리나라 입학사정관제의 특징(미국, 일본과의 비교)
가) 다양한 능력 평가 모델의 피료썽
▶ 박준형 기자, NEWSIS, 2009학년도 대입…입학사정관제도란, 2008.03.13
3. 입학사정관제에 관한 찬반 논란
1) 주요 찬반 논리
다) 새로운 입시제도, 사교육 조장 위험성
▶ 박남기 외 4인(2008), 대학입학사정관제의 공정성 확보 measure(방안) 연구, 한국대학교육협의회
다. 하지만 점차 창의력, 문제해결 능력, 리더십, 봉사정신, 타인과의 의사소통 능력 등 다양한 능력을 지닌 학생들이 우수한 학생으로 인정받는 경향으로 바뀌어 가고 있따 또한 대학에는 다양한 학과가 있따 따라서 개별 학과에 맞는 적성과 요구사항 역시 다양할 수밖에 없다.
▶ 입학사정관제의 양면, 한겨레, 이윤미 홍익대 교육학과 교수, 2009.03.15
[교육] [입학사정관제도]입학사정관제의 정의(定義) 및 특징, 장단점 이해, 입학사정관제 도입에 따른 찬반논란(긍정적, 부정적 효능)의 쟁점 分析(분석)
4. 입학사정관제의 해결課題
1) 객관적인 평가 기준 마련
나) 학생의 잠재적 역량 평가
3) 입학사정관제의 문제점 (반대 주장)
3) 입학사정관제 논란의 중심, ‘공정성’
다) 구더기 무서워서 장 못 담그는 격
▶ 대학 자율화 및 질 제고와 대학입학전형제도, 서민원, 한국교육평가학회, 교육평가연구 제21권 제3호, 2008. 9, pp. 93 ~ 120 (28pages)
▶ 김희동, 진학사, 조선일보, 입학사정관제 49개교로 확대, 2009.01.11
1) 입학사정관제란?
가) 다양한 능력 평가 모델의 피료썽
나) 입학사정관제 도입, 시기상조는 아닐까?
가) 입학사정관제, 공정하게 적용될까?
5. 마치며
4) 대학차원의 시스템 구축과 운영
과거에는 국, 영, 수를 비롯해 교과공부를 잘하는 학생이 우수 학생으로 간주되었다. 하지만 교과시험성적은 이러한 능력과 적성을 측정하기에 한계가 있따 물론 국, 영, 수 등의 교과공부를 잘하는 것 역시 중요한 수학능력 지표이기도 하지만, 그것이 개별 학과에서 필요로 하는 다양한 능력의 전부는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