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thub.co.kr 미학(aesthetics)의 특징 > bithub8 | bithub.co.kr report

미학(aesthetics)의 특징 > bithub8

본문 바로가기

뒤로가기 bithub8

미학(aesthetics)의 특징

페이지 정보

작성일 21-06-17 17:05

본문




Download : 美學-1.hwp




고대인들은 아름다운 사물이나 아름다운 색, 아름다운 음만이 아니라 아름다운 사고나 아름다운 제도라는 말을 썼으며, 플라톤은 미의 example(사례) 들로서 아름다운 성격이나 아름다운 법, 그리고 〈향연〉편에서는 미의 이념이라는 말을 쓰고 있다 또한 플로티노스는 아름다운 과학, 아름다운 덕을 말하고 있다 따라서 고대인들은 시각과 청각에 국한되는 좁은 의미의 미의 槪念을 지니고 있지 않았으며, 청각적인 미에 해당하는 것에 마주향하여 는 화음(harmonia), 시각적인 미에 해당하는 것에 마주향하여 는 비례(symmetria)라는 말을 사용했다. 따라서 미는 수와 척도와 비례에 있다는 이론을 발전시키게 되었고, 이것이 모든 미이론의 기초가 되고 있다는 점에서 W. 타타르키예비치는 이것을 서구미학의 대이론(great theory of beauty)이라 규정짓고 있다


4. 서지사항 미와 미론의 역사적 문맥
헤겔 미학입문 : T. 메춰·페터스촌디, 여균동 외 역, 종로서적, 198
프랑스현대미학 : V. 펠드망, 박준원 역, 서광사, 1987
근대미학연구 : 김문환, 서울대학교 출판부, 1986

2. 고대 미학사상의 중심槪念
1. 개요
다.

미학(aesthetics)의 특징


미학논평 : G. 루카치, 홍승용 역, 문학과학사, 1992
미학사(학술총서 4) : 먼로 C. 비어슬리, 이성훈·안원현 공역, 理論과 실천, 1990
미는 우리 마음에 즐거움과 감탄을 불러일으키는 것으로서, 이 말을 가리키는 고대 그리스어에는 명사 kallos(로마어로는 pulchritudo)와 형용사 kalos(로마어로는 pulcher)가 있다 미의 추상적 성질을 지시하고자 할 때는 전자를 사용했고, 개별적인 아름다운 사물을 지시하고자 할 때는 형용사의 명사형인 to kalon(the beautiful)을 사용했다. 그러나 지각에 대한 사유의 우월성이 신봉되고 있고, 사유와 지각과의 밀접한 관계가 인정되고 있는 중에 시각·지각만이 그러한 것으로 받아들여지고 있었으므로 미의 槪念을 감각적인 것에 국한시키고자 했을 때 고대 그리스인들은 시각·지각에 기초하여 미의 槪念을 정립했다. 이와 같은 미의 槪念이 최초로 제기된 것은 피타고라스의 음악론을 통해서였으며, 이 음악론은 건축·조각·회화에 影響을 미쳐 그들이 준수해야 할 규범(kanon)의 하나로서 완전한 비례의 이론을 낳게 했다. 이처럼 감각적인 대상들 속에 구현된 화음이나 비례는 오늘날 좁은 의미의 미를 뜻하는 말로 사용되었다.
시학 : 아리스토텔레스, 천병희 역, 운암사, 1983
미학입문 : G. 딕커, 오병남·황유경 공역, 서광사, 1983

미학의 기초와 그 理論의 변천 : 강대석, 서광사, 1990


미학의 차원(청하신서 2) : H. 마르쿠제, 문학과사회연구소 역, 청하, 1983

http:



설명



현대미학입문 : R. 볼하임, 오병남·임일환 공역, 서광사, 1993
미술 미학사상 asethetics / 철학적 탐구 : L. 비트겐슈타인, 이영철 역, 서광사, 1994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Download : 美學-1.hwp( 92 )



변증법적 미학理論 : G. H. R. 파킨슨, 김대웅 역, 문예출판사, 1986
미술 미학사상 asethetics
현상학과 예술 : M. 메를로퐁티 외, 오병남 편역, 서광사, 1883

셸링의 예술철학 : 김혜숙, 자유출판사, 1992
미학과 현상학 : 박상규, 문예출판사, 1991



순서

미술 미학사상 asethetics / 철학적 탐구 : L. 비트겐슈타인, 이영철 역, 서광사, 1994 현대미학입문 : R. 볼하임, 오병남·임일환 공역, 서광사, 1993 미학논평 : G. 루카치, 홍승용 역, 문학과학사, 1992 셸링의 예술철학 : 김혜숙, 자유출판사, 1992 예술이란 무엇인가 : H. 리드, 윤일주 역, 을유문화사, 1991 미학과 현상학 : 박상규, 문예출판사, 1991 미학사(학술총서 4) : 먼로 C. 비어슬리, 이성훈·안원현 공역, 이론과 실천, 1990 미학의 기초와 그 이론의 변천 : 강대석, 서광사, 1990 프랑스현대미학 : V. 펠드망, 박준원 역, 서광사, 1987 변증법적 미학이론 : G. H. R. 파킨슨, 김대웅 역, 문예출판사, 1986 근대미학연구 : 김문환, 서울대학교 출판부, 1986 루카치 미학 비평 : 키랄리활비, 김태경 역, 한밭출판사, 1984 현상학과 예술 : M. 메를로퐁티 외, 오병남 편역, 서광사, 1883 미학의 차원(청하신서 2) : H. 마르쿠제, 문학과사회연구소 역, 청하, 1983 미학입문 : G. 딕커, 오병남·황유경 공역, 서광사, 1983 시학 : 아리스토텔레스, 천병희 역, 운암사, 1983 헤겔 미학입문 : T. 메춰·페터스촌디, 여균동 외 역, 종로서적, 198
3. 근대미학의 성립과 현대미학의 제 전개
예술이란 무엇인가 : H. 리드, 윤일주 역, 을유文化(문화)사, 1991
루카치 미학 비평 : 키랄리활비, 김태경 역, 한밭출판사, 1984

이와 같은 미의 槪念은 현대 서구인들이 이해하고 있는 것보다 훨씬 넓은 의미였다.
전체 41,180건 1 페이지
해당자료의 저작권은 각 업로더에게 있습니다.

evga.co.kr 은 통신판매중개자이며 통신판매의 당사자가 아닙니다.
따라서 상품·거래정보 및 거래에 대하여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 bithub.co.kr.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