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세국어 도표정리(整理)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31 00:07본문
Download : 중세국어교육론1.hwp
받아가시는 모든분들이 좋은 점수받기 바랍니다.
다. 받아가시는 모든분들이 좋은 점수받기 바랍니다. → 순경음 표기(ㅸ, ㆄ, ㅹ, ㅱ,)
「어제서문
초성 두 자, 세 자를 합해서 나란히 쓴다. 많은 도움되시길 바랍니다^^
2. 글자와 소리값 : 초성, 중성, 종성 글자와 소리값
1. 훈민정음
아음 : ㄱ은 혀뿌리가 목구멍을 막는 모양 - ㅋ
『훈민정음』 해례본
중세국어 도표정리(整理)
레포트 > 인문,어학계열
2. 표기법
정인지 서
많은 도움되시길 바랍니다^^
ㆁ을 입술소리 밑에 연서하면 순경음이 된다된다.순서
① ‘ㅅ’계 합용병서로 쓰인 말이 현대어에서는 대체로 된소리로 발음 리>꼬리, ㅎ>땅
제자해, 초성해, 중성해, 종성해, 합자해, 용자례
각자병서
② ‘ㅅ’을 예전에 ‘된시옷’으로 불렀던 사실
설음 : ㄴ은 혀끝이 윗잇몸에 닿는 모양 - ㄷ - ㅌ
치음 : ㅅ은 이의 모양 - ㅈ - ㅊ
나라의 말이 중국(中國)과 달라 한자와 서로 잘 통하지 아니하므로(자주정신) 이런 까닭에 어리석은 백성이 말하고자 할 바가 있어도 마침내 제 뜻을 능히 펴지 못하는 자가 많으니라. 내가 이를 불쌍히 여겨 새로 스물 여덟 자를 만드니(애민정신) 사람마다 날로 씀에 편안하게 하고자 할 따름이니라.(실용정신)
1. 어지(御旨) : 창제의 취지
된소리설 / ㅅ계 합용병서
순음 : ㅁ은 입의 모양 - ㅂ - ㅍ
후음 : ㆁ은 목구멍의 모양 - ㆆ - ㅎ
합용병서
중세국어, 문법, 훈민정음, 중세문법, 고전문법, 국어교육
4. 중세국어의 형태적 특징
(御製序文)」
3. 글자의 운용 : 연서법(이어쓰기), 병서법(나란히쓰기), 부서법(붙여쓰기), 성음법(음절이루기), 사성법(점찍기)
해례
훈민정음 제작 경위
초성을 어울려 쓰려면 나란히 쓴다.
A+ 받은 입니다.
병서자
중세국어 표로 정리(整理) 한 내용입니다. A+ 받은 자료입니다. → 된소리 표기(ㄲ, ㄸ, ㅃ. ㅉ. ㅆ, ㆅ)
연서자
예의
반포 : 1446년 9월(세종28) 음력 9월 상한에 해례본 완성
설명
3. 문헌자료(data)
구성
된소리 표기(ㅺ, ㅼ, ㅽ) → 16세기 초에 된소리로 바뀜
③ ‘ㅅ’이 사이시옷으로 쓰여서 뒤에 실현되는 말이 된소리로 발음됨*‘ㅻ’제외 ᄮᆞ히>사나이
초성, 중성, 종상의 글자를 합쳐서 적어야 소리가 이루어진다는 규정(모아쓰기) → 한자를 글자의 모범으로 생각 -> 군, 땀, 침
5. 중세국어의 통사적 특징
Download : 중세국어교육론1.hwp( 32 )
가획의 원리 : 어떤 자의 음보다 ‘성출초려’(소리가 약간 셈)한 음을 표시하는 글자는 원래의 글자에 획을 더하여 만듦





중세국어 표로 정리한 내용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