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모교육 (A+완성형)] 드라이커스 (Dreikurs)와 고든 (Gordon)의 부모교육이론(理論) 비교
페이지 정보
작성일 21-05-06 13:28
본문
Download : [A+완성] 드라이커스 고든의 부모교육 이론 비.hwp
그러나 인간으로서의 동등한 권리를 부여한다는 것은 과도한 허용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부모의 자녀양육은 모든 사람은 하나의 인격체로서 서로 평등하다는 인식 위에서 자녀와 동등한 관계를 유지하는 한편 질서있는 자유를 허용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① 부모의 수용성 수준 파악하기
3. 현대 부모교육 theory
드라이커스 고든 부모교육 dreikurs gordon / 1. 유효순, 이원영, 『부모교육』,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부, 2005
1. 부모교육의 槪念
3. 드라이커스와 고든의 부모교육 theory 비교
① 자연적 귀결
⑥ 민주적 갈등해결 방법(무승부법)
4) 자녀양육의 기본원리
② 문제의 소유의식 원리
5. 이은화, 김영옥, 『유아를 위한 부모교육』, 동문사, 2000
5) 적극적 부모역할 훈련
2. 부모교육의 necessity need
드라이커스는 가정, 학교, 사회 등 사람들이 함께 살며 상호작용해야 하는 곳에서 반드시 갈등이 일어나게 되며, 이 갈등은 민주적 방식에 의해 해결되어야 한다고 믿었다. 과거 서구의 자녀교육방법은 권위적이며 엄격한 방식으로서 부모는 어린 자녀들에게 권위자로서 설명(說明)하고 말하고 가르치는 입장이었고 어린이들은 부모의 지시에 따라 수동적으로 듣고 복종하는 태도를 취해야 했으며. 잘 따라할 때에는 보상을 받고 그렇지 못할 때에는 벌을 받아야 했다. 그런데 그는 Alder의 초기 학생 중의 하나였었다. Dreikurs는 Alder의 아동보호 상담소에서 연구를 한 후 시카고 대학의 정신과 교수가 되었는데 가정 내에서의 인간관계에 초점을 두어 민주적 생활태도를 개발해야 한다고 보았다.
3) 부모효율성훈련의 교육내용
드라이커스 고든 부모교육 dreikurs gordon / 1. 유효순, 이원영, 『부모교육』,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부, 2005 2. 유안진, 김연진, 『부모교육』, 동문사, 2000 3. 이숙(외), 『훈련중심 부모교육』, 학지사, 2002 4. 한국어린이육영회, 기관중심 부모교육 운영의 실제, 서울: 한국어린이육영회, 1993 5. 이은화, 김영옥, 『유아를 위한 부모교육』, 동문사, 2000 6. 이원영, 『부모교육론』, 창지사, 1987 7. 안영미(2001), 『유치원 학부모의 부모교육 현황과 인식 및 요구 분석』,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87 8. 이학자, 『유치원에서의 부모교육 현황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인제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2. 9. 김은, 『유치원에서의 부모교육 현황에 관한 연구』, 중앙대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001 10. 한국부모교육센타 http://www.koreabumo.com 11. 한국유아교육센타 http://www.e2ecenter.net (부모교육)
8. 이학자, 『유치원에서의 부모교육 現況(현황) 및 improvement(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인제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2.
2) 인본주의적 부모교육theory
③ 상호성장을 돕는 경청기술
11. 한국유아교육센타 http://www.e2ecenter.net (부모교육)
1. 드라이커스의 부모교육 theory (민주적 부모교육theory )
Ⅰ. 서 론
1) 유사점
Ⅳ. 결 론
Dureikurs는 애들러의 개인심리학 theory 을 부모교육에 적용함으로써 부모들에게 민주적인 양육원칙을 introduce하려고 노력하였다.
6) 상호교류분석 theory
드라이커스 고든 부모교육 dreikurs gordon
④ 장해 요인적 언어표현
3) 부모와 자녀의 관계에 대한 가정
3. 이숙(외), 『훈련중심 부모교육』, 학지사, 2002
1) 민주적 부모교육 theory
⑤ 부모입장 알리기(I-Message)
1) 기본槪念
7. 안영미(2001), 『유치원 학부모의 부모교육 現況(현황) 과 인식 및 요구 分析(분석)』,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87
2) 차이점
5) 잘못된 행동목표(goal)
2. 유안진, 김연진, 『부모교육』, 동문사, 2000
① 비일관성의 원리(inconsistency principle)
그런데 드라이커스는 자녀들이 아직 어리긴 하지만 인간으로서의 가치 면에서는 성인과 동등하기 때문에 부모와 자녀가 상호 존중하는 태도를 보여야 한다고 생각하였다. 특히 이러한 민주적 생활태도가 부모와 자녀 간의 관계를 향상시키려는 데 기여를 한다고 보았다. 부모의 좋은 생활양식은 자녀에게 좋은 influence(영향)을 미치며 어린이들은 주어진 한계 내에서 자유를 경험해 볼 수 있도록 가정에서 민주주의적 태도로 양육 되어야 한다고 믿었다.
Ⅱ. theory 적 배경
② 논리적 귀결
순서
9. 김은, 『유치원에서의 부모교육 現況(현황) 에 관한 연구』, 중앙대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001
4) 효율적 부모역할을 위한 체계적 훈련
3) 부모효율성 훈련
6) 잘못된 행동목표(goal)에 대한 행동 통제 책략
② 문제의 소유자 파악하기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부모교육 (A+완성형)] 드라이커스 (Dreikurs)와 고든 (Gordon)의 부모교육이론(理論) 비교
Ⅲ. 드라이커스와 고든의 부모교육 theory 비교
6. 이원영, 『부모교육론』, 창지사, 1987
Ⅴ. reference 1. 드라이커스의 부모교육 theory (민주적 부모교육 theory )
설명
Download : [A+완성] 드라이커스 고든의 부모교육 이론 비.hwp( 91 )
2) 민주적 부모교육theory 의 발달과정
2) 민주적 부모교육theory 의 발달과정
다.
1) 기본槪念
1) 기본槪念
2. 고든의 부모교육 theory (부모 효율성 훈련)
10. 한국부모교육센타 http://www.koreabumo.com
4. 한국어린이육영회, 기관중심 부모교육 운영의 실제, 서울: 한국어린이육영회, 1993
2) 부모효율성theory 의 기본가정
민주적 부모교육theory 에 크게 공헌한 Dreikurs 1897년 비엔나에서 출생하여 비엔나 의대를 졸업한 후 가족상담과 정신치료요법에 관하여 많은 연구를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