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포트 - 유가적 인간과 근대적 인간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10-04 16:49
본문
Download : 레포트 - 유가적 인간과.hwp
그리고 세월이 흐르면서 이상적인 정치가의 의미가 뒤섞였다. 그는 인간을 도덕적 존재로 여기는 주공의 사상을 수용해, 이를 체계적으로 정립하였고, 유가사상의 종지로 삼았다. 반대로 공공의 질서 의식이 미약하고, 사적 이익을 최선으로 여기는 사람을 소인이라 하였다. 한국철학사상연구회, <철학 문화를 읽다>, 이철승 편, [군자에서 시 민 까지], 동녘, 2009, 16쪽 인용
리포트 - 유가적 인간과 근대적 인간
.
갑골문(甲骨文)이나 금문(金文)에 나타나지 않아, 흔히 주나라 성립 이후 형성된 것으로 여겨지는 군자라는 concept(개념)은, 사실 공자시대 이전부터 있어왔다.
이에 반해, 군자는 자신의 이익을 위해 분파를 형성하지 않고, 잘못의 원인(原因)을 다른 사람에게 전가
모든 인간은 태어날 때부터 도덕성을 실현할 가능성을 갖추고 있다 그러나 즉시 실현할 수 있지 않기에, 현실적으로 선택할 수 있는 것은 성인의 모습을 닮으려고 노력하는 일이 된다 이러한 노력하는 모습이 비록 성인과 일치하지는 않지만, 이 또한 평범한 사람이 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오늘날 사람들은 동양과 서양 그리고 전통과 현대의 가치가 다양하게 섞인 사회에서 살고 있다 그렇기에 어느 하나의 관점만으로는 현대 사회에 적합한 이상적인 인간상을 설정하기가 쉽지 않다. 한국철학사상연구회, <철학 문화를 읽다>, 이철승 편, [군자에서 시 민 까지], 동녘, 2009, 16쪽 참고
유가의 이상적 인간상인 군자와, 서양의 근대적 인간관인 시 민 에 대해 종합적으로 알아보고, 우리가 추구해야 할 인간상에 대해 논의 해보자
순서
공자 시대 이전엔 정치적 신분을 지칭하는 concept(개념)이었다. 소인은 자신의 이익을 위해서는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는다.
리포트 - 유가적 인간과 근대적 인간
공자에 따르면, 성인은 도덕적 내용을 완벽하게 실현하는 인간이다. 따라서 사회적 지위의 높고 낮음, 지식의 많고 적음과 상관없이, 본인의 이익만을 위하는 삶을 추구하는 사람은 모두 소인이다. 한국철학사상연구회, <철학 문화를 읽다>, 이철승 편, [군자에서 시 민 까지], 동녘, 2009, 15쪽 참고
레포트 > 인문,어학계열
공자시대에 이르러서는 대부분 도덕성을 갖춘 인간의 의미로 사용하게 되었다. 공자는 이러한 인간을 군자라고 명명했다. 한국철학사상연구회, <철학 문화를 읽다>, 이철승 편, [군자에서 시 민 까지], 동녘, 2009, 23쪽 인용
1. 군자(君子) 란 무엇인가?
인(仁)으로 대표되는 공자의 철학사상은 도덕적 인간에 관해 종합적으로 취급하고 있으며, 주공이 정립한 질서 체계를 인간이 추구해야 할 바람직한 규범으로 삼고 있다 한국철학사상연구회, <철학 문화를 읽다>, 이철승 편, [군자에서 시 민 까지], 동녘, 2009, 16쪽 참고
군자는 공적 의로움의 실현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인간이다.
.
레포트 - 유가적 인간과 근대적 인간
리포트 - 유가적 인간과 근대적 인간
Download : 레포트 - 유가적 인간과.hwp( 42 )
다.
설명





리포트 - 유가적 인간과 근대적 인간
.
레포트 - 유가적 인간과 근대적 인간
레포트 - 유가적 인간과 근대적 인간 레포트 - 유가적 인간과 근대적 인간 레포트 - 유가적 인간과 근대적 인간
당시 공자는, 생산력의 발전으로 등장한 신흥세력들이 추구하는 부국강병 정책을 약육강식의 논리에 기초한 비인간적인 것으로 여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