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순원 소설『소나기』의 독자反應(반응)비평적 접근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08 02:43본문
Download : 황순원 소설『소나기』의 독자반응비평적 접근.hwp
따라서 문학연구는 문학작품의 `수용과 effect`…(省略)
,감상서평,레포트
독자반응비평 , 황순원 소설『소나기』의 독자반응비평적 접근감상서평레포트 ,
독자反應(반응)비평
순서
설명
레포트/감상서평
다. 지금부터 독자reaction(반응)비평에 대해 알아보기로 한다.






황순원 소설『소나기』의 독자反應(반응)비평적 접근
Download : 황순원 소설『소나기』의 독자반응비평적 접근.hwp( 51 )
1. 독자reaction(반응)비평의 槪念
2. 독자reaction(반응)비평의 사적 전개
3. 독자reaction(반응)비평의 방법론
4. 독자reaction(반응)비평의 한계와 의의
5. 황순원의 『소나기』를 통해 본 독자reaction(반응)비평
※ Reference List
1. 독자reaction(반응)비평의 槪念
독자reaction(반응)비평은 용어 그대로 작가·작품·독자 등 문학 비평의 주요 대상 또는 요소 중에서 독자를 비평의 가장 중심 위치에 놓는 비평의 방식을 말하며, 수용미학, 수용理論(이론), 독자중심비평 등으로 불려진다. 작품 내재적 연구 또는 작품 외재적 연구에 속하여 독자가 소외된 이전까지 진행된 모든 문학연구방법들을 비판하고, 문학사의 歷史성은 수용자의 능동적인 참여 없이는 생각할 수조차 없다는 관점에서 문학사는 작품과 독자간의 대화의 歷史로 씌어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이 용어 역시 독일의 수용理論(이론)과 연결되어있다
홀럽(R.C. Holub)은 독일의 수용理論(이론)과 미국의 독자reaction(반응)비평을 일단 구별하고 있다 수용理論(이론)이 1960년대 말의 서독에서의 사회적·지적·文化적 발전에 대한 하나의 반동으로 일어난 결속이 있는 의식적이며 집단적인 비평운동임에 비하여 독자reaction(반응)비평은 비평가들이 표방하는 슬로건이나 피차간의 교류관계가 없이 일단의 비평가들에게 사후에 주어진 명칭으로써 하나의 학파를 형성하고 있지 않다는 것이다.
`수용미학`은 야우스(Hans Robert Jauss)가 1967년에 강의를 한 「문예학의 도전으로서의 문학사」에서 처음 사용되었다. 이렇듯 독자reaction(반응)비평은 수용理論(이론)과 연관하여 하나의 비평으로 새롭게 제시되었다.
독자reaction(반응) 비평은 1980년 무렵부터 미국 비평계에서 사용하기 처음 하였는데, 미국 톰킨스(J.P. Tompkins)의 편저 『독자reaction(반응)비평』은 이 槪念을 公式(공식)화하는데 상당한 effect을 미친 편저이다. 화자의 목적은 자신의 의사를 청자가 이해함으로써 이루어진다면 작가가 창작한 문학작품은 텍스트와 독자간의 대화를 거치게 되고 독자의 수용이 중시된다된다.
언어소통에서 발신자인 화자는 언어를 통해서 수신자인 청자에게 자신의 의사를 전달한다면 작가는 텍스트를 통해서 독자에게 작품을 전달한다. `수용理論(이론)`이라는 용어도 거의 같은 무렵부터 사용된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