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역의 충실성 통역방식의 기준 연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21 06:31본문
Download : 통역의 충실성 통역방식의 기준 연구.hwp
통역의 충실성 통역방식의 기준 연구
,경영경제,레포트
I. 들어가기
II. 통역의 충실성
1. 해석theory
2. 의미
III. 통역방식에 따른 통역의 충실성
1. 동시통역
1-1. 동시통역이 사용되는 경우
1-2. 동시통역과 통역의 충실성
2. 순차통역
2-1. 순차통역과 퍼포먼스
2-2. 순차통역과 통역의 충실성
3. 위스퍼링 통역 (whispering)
3-1. 위스퍼링을 사용하는 경우
3-2. 위스퍼링과 통역의 충실성
4. 생동시통역 (in vivo interpreting/voice over)
4-1. 생동시통역을 하는 경우
4-2. 생동시통역과 통역의 충실성
5. 릴레이 통역 (relay)
5-1. 릴레이 통역을 하는 경우
5-2. 릴레이 통역과 통역의 충실성
6. 원격통역(teleinterpretation/videoconference)
6-1. 원격통역을 하는 경우
6-2. 원격통역과 통역의 충실성
7. 테크노 순차통역(techno consecutive interpretation)
7-1. 테크노 순차통역이란?
7-2. 테크노 순차통역과 통역의 충실성
IV. 나오기
참 고 문 헌
또 우리가 TV를 볼 때 두뇌에서 일어나는 작용도 마찬가지이다. 더 나아가 번역은 불가능하다는 불가론을 주장하는 사람들도 있다
하지만 이러한 관점은 통역과 번역을 단순히 언어적 차원에서 이루어지는 `일대일 대응 전환`, `출발어와 도착어간의 치환`으로 보기 때문에 생기는 것이다. 우리가 발화되는 말을 들을 때에 의미 도출 과정은 듣는 그 순간에 일어난다.통역의충실성통역방식 , 통역의 충실성 통역방식의 기준 연구경영경제레포트 ,
통역의 충실성 통역방식의 기준 연구에 대한 글입니다.
통역의 대상이 되는 담화가 순식간에 `사라지는` 반면, 번역의 대상이 되는 텍스트는 활자화되어 `남아있다`는 property(특성) 때문에 의미의 `모호성` `다의성`을 번역과 연관지어 논제로 삼는 언어학자들이 적지 않다. 실 상황에서 언급된 텍스트 속의 `감사`는 늘 하나의 뜻을 가지고 있다 한 단어를 발화된 상황과 유리시켜놓고 모호하다든가 여러 뜻이 있지 않느냐는 얘기는 실제 통역 상황과는 무관한 언어적인 측면만 본 억지이다.
예를 들어 `감사`라는 말을 들으면 배려해 줘서 감사하다는 뜻도 있고 앞서 언급했듯이 세계감사원장회의에서 논의되는 회계 `감사`도 있다 `우리가 이렇게 완벽한 회의를 개최한 `감사`원에 `감사`를 드린다` 했을 때 전자 `감사`와 후자 `감사`를 구별 못하는 청중은 없을 것이다. 그리고 화자에 의해 `의도된` 다의성이 아니라면 다의적인 해석은 일어날 수 없다.
앞서 언급했듯이 의미 도출화 과정은 순식간에 일어난다. 말장난을 하거나 화자가 의도…(To be continued )
통역의 충실성 통역방식의 기준 연구에 대한 글입니다. 시청자에게는 뉴욕에서 9월 11일 테러사태가 일어났으며 여러 피해자들이 속출하였다는 언어적 차원이 배제된 의미 집합이 형성된다 그리고 이러한 소식을 전한 기자가 이 메시지를 전달하기 위해 사용했던 특정 어휘 하나하나 즉 언어적 차원의 요소들은 사라진다.
레포트/경영경제
Download : 통역의 충실성 통역방식의 기준 연구.hwp( 53 )
설명
통역의충실성통역방식
순서






다. M.Lederer에 따르면 텍스트에 대한 의미 추출이 우선 언어적 차원에서 일어나고 그 다음 담화적 차원에서 일어나는 것이 아니라 `단번에` 담화적 차원에서 일어난다. 순간적인 이해 과정에 뒤따르는 의미 도출화 과정은 발화 과정을 따라가면서 연속적으로 일어나게 되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