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94년 농민전쟁의 주체와 지향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04 07:30
본문
Download : 1894년 농민전쟁의 주체와 지향.hwp
그런데 정치적 지향에 관해서는 특히 농민군이 대원군세력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었는가에 대해 다양한 견해들이 있다
농민군은 4월 16일 영광에서 발표된 통문에서 “우리가 오늘 의거한 것은 다른 뜻이 아닌것이다 . 탐관오리를 제거하고 국태공을 받들어 나라를 감독하게 하여 위로는 종사를 보존하고 아래로는 백성을 보호하며, 이로써 부자의 천륜과 군신의 대의를 온전히 하여 난신적자가 자연히 사라지게 함”에 있다고 선언하였다.,기타,레포트
3) 정치적 지향농민군이 1차 봉기에서 민씨 정권의 축출을, 2차 봉기에서 일본침략세력의 축출을 목표로 하고 있었다는 것은 주지하는 바이다. 대원군과 전봉준간에 사전에 어떤 연락관계가 있었는지는 불분명하지만, 이를 통해서 적어도 1차봉기 당시에는 농민군측이 대원군을 다시 옹립하면서 대원군과 농민군세력의 연합정권 성립을 구상하였다고 볼 수 있지않을까 생각된다된다....
Download : 1894년 농민전쟁의 주체와 지향.hwp( 91 )
3) 정치적 지향
3) 정치적 지향
농민군이 1차 봉기에서 민씨 정권의 축출을, 2차 봉기에서 Japan침략세력의 축출을 goal(목표) 로 하고 있었다는 것은 주지하는 바이다. 5월 4일 전주에서 초토사에게 보낸 글에서 “국태공을 받들어 나라를 맡기자는 것은 너무나 당연한 일이거늘 어찌 불궤라 하느냐”고 비난하였다.... , 1894년 농민전쟁의 주체와 지향기타레포트 ,
설명






순서
농민군이 1차 봉기에서 민씨 정권의 축출을, 2차 봉기에서 日本 침략세력의 축출을 목표(goal)로 하고 있었다는 것은 주지하는 바이다. <<수록>>, 갑오 4월 16일
여기서 농민군은 국왕에 대한 충성을 다짐하면서 대원군의 정권장악을 주장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면 2차 봉기시 농민군과 대원군은 어떤 연락관계를 갖고 있었을까. 전봉준은 재판과정에서 대원군…(skip)
레포트/기타
1894년 농민전쟁의 주체와 지향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