십이지상의 불교와 유교
페이지 정보
작성일 19-09-25 13:52
본문
Download : 십이지상의 불교와 유교.hwp
우리 나라에서 대표적인 예로서는 국립중앙박물관 소장의 납석제 뱀과 말상을 비롯하여 성덕왕릉, 원성 왕릉, 흥덕 왕릉 등의 십이지상등이 있따
2. 십이지상과 불교
1) 서방 정토를 지키는 불법의 수호신들
우리의 석탑에는 사천왕, 인왕, 사방불, 십이지 등 여러 가지 조각들이 장식되어 있따 이들조각들은 부처의 사리가 안치된 …(drop)
설명
십이지상의 불교와 유교
십이지상의 불교와 유교에 대한 자료입니다. 십이지상十二支像이 , 십이지상의 불교와 유교인문사회레포트 ,
십이지상十二支像이
순서






Download : 십이지상의 불교와 유교.hwp( 25 )
십이지상의 불교와 유교에 대한 자료(資料)입니다. 십이지에 대한 槪念은 이집트, 그리스, 중앙아시아,인도, 중국(China), 우리 나라, 日本 등 광범위하게 퍼져 있으나, 동물로 형상화 된 것은 중국(China) 한대(漢代) 이후라고 할 수 있따
중국(China) 당대(唐代)의 문헌에는 십이지가 이미 시간의 신(神)으로 되어 있으나 당 중기에 이르러 방위신인 사신(四神-: 청룡, 백호, 주작, 현무)과 관련되면서 명기(明器)로 제작되거나 또는 능묘를 지키는 수호신으로서의 역할을 하게 되었다. 그러나 고려시대에는 형식의 變化(변화)와 함께 머리에 관을 쓴 수관인신상(樹冠人身像)이 등장하여 능묘의 호석(護石) 뿐만 아니라 고분벽화, 석탑, 석관, 부도, 동경등 그 사용범위가 넓어지게 되었다.
레포트/인문사회
1. 십이지상(十二支像 ) 이란
2. 십이지상과 불교관계
1) 서방 정토를 지키는 불법의 수호신들
2) 늠름한 모습의 사천왕과 인왕
3) 팔부신중과 사방붙, 그리고 보살
4) 약사신앙의 상징인 십이지상과 비천상
5) 불국토를 수호하겠다는 결연한 의지
3. 십이지상과 도교-민화를 중심으로
1) definition 및 기원
2) 작가 및 수요자
3) 종류
무속. 도교적 민화
불교적 민화
유교 계통의 민화
장식용 민화
4) 한국 민화의 特性(특성)
<참 고 문 헌>
1. 십이지상(十二支像 ) 이란
쥐, 소, 호랑이, 토끼, 용, 뱀, 말, 양, 원숭이, 닭, 개, 돼지(子丑寅卯辰巳午未申酉戌亥) 의 12가지 동물을 상징하는 상이다.
,인문사회,레포트
다. 조선시대에도 능묘 조각은 물론이고 불화로서 십이지도 무신장성이 유행하게 되었다.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예는 중국(China) 서안시 동교 곽가탄의 사instance(사례) (史思禮)묘(墓 744년)에서 출토된 십이지생초상 (十二支生肖像)과 서안 함조저 장만 출토의 십이지생 초상 (744년) 을 들 수 있따 그 형상은 동물의 머리에 사람의 모습을 하고 몸에는 소매가 넓은 관복을 걸치고 있따 우리 나라의 경우는 중국(China) 당대의 影響을 받아 8세기 중엽경인 통일 신라 시대에 성립된 것으로 보고 있따 통일 신라 시대의 십이지상은 주로 머리만 동물 형상을 한 무인(武人)의 모습이고 표현되면서 점차 조각의 한 주제로 독립되어 독특한 조형 양식을 보여 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