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학교에서 집단상담 사례연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08 00:00본문
Download : 초등학교에서 집단상담 사례연구.hwp
한마당이라 함은 집단상담의 다른 이름으로 예전에 “조상들이 사랑방에 모여 마을의 문제를 대화를 통해 합의를 도출하는 제도”를 본받아 이러한 대화의 자리를 마련한다는 의미에서 “한마당-큰마당”이라 칭하고, 이의 운영은 리더인 담임교사를 중심으로 집단상담의 형태로 운영하게 한다.`한마당`이란 `학급재판소`의 운영 경험에서 오는 집단상담 경험이 아동의 대인간 문제해결사고 능력과 아동의 자아존중감 척도를 어느 정도 향상시킬 수 있는가에 대한 연구입니다.
레포트/인문사회






,인문사회,레포트
Download : 초등학교에서 집단상담 사례연구.hwp( 85 )
초등학교집단상담사례연구
초등학교에서 집단상담 사례연구
다.
설명
Ⅰ. 서 론
1. 필요성(必要性)과 목적
2. 연구문제
3. 용어의 정이
Ⅱ. 理論적 배경
1. 초등학교에서의 집단상담
2. 한마당 집단상담
3. 기대효능
4. 현장에서의 적용
5. 실제 진행 예
Ⅲ. 연구방법 및 절차
1. 연구활동 과정
2. 연구일정
Ⅳ. 기대되는 효능
Ⅴ. 맺으며
한마당은 집단상담의 다른 이름으로 예로부터 우리 조상들이 “사랑방에 모여 마을의 크고 작은 문제를 대화를 통해 합의를 도출하던 제도”를 본받아 대화의 자리를 마련한다는 의미에서 이를 “한마당-큰 마당”이라고 칭하고 리더인 담임교사를 중심으로 집단상담의 형태로 운영된다 집단상담의 속성 에 따라 상담에 참석하기 원하는 아동들과 주제에 관련된 아동들을 중심으로 10명을 집단으로 편성한 다음, 다른 아이들은 觀察자가 된다 집단상담이 모두 끝난 뒤에는 觀察자들도 나눔에 참석하며, 일지를 쓰게 된다 매일 매일의 생활을 반성해 보는 나눔 마당도 아동 모두가 학급의 구성원으로 자신을 노출하고 타인을 수용하며 토론에 참여하는 마당으로 자리 매김하고 있따
가. 목적
학급재판소 운영에 따른 제반 역기능 및 아동들의 회의와 토론에 대한 文化(문화)가 정착되지 못함으로 인해 학급재판소를 폐쇄하고 한 마당으로 그 역할을 대신하기로 학급회의에서 결정했다.
나. 방침
⑴ 담임교사가 학급을 운영함에 있어, 아동 상호간의 인간관계에 관한 갈등 및 집단 괴롭힘, 언어적·신체적 폭력과 금품수수 및 절도, 학급의 질서를 무너뜨리는 크고 작은 행동들과 타인에게 폐를 끼치는 아동들의 문제를 교사는 개별적인 차원에서 상담과 생활지도를 통해 해결할 수 있으나 때에 따라서는 학급 전체의 문제로 나눔을 통해 문제를 제기하고 이를 함께 풀어갈 수 있따
⑵ 학급 한마당에 제기되는 문제는 사안에 따라 아동 혹은 교사에 의해 제기되고, 한마당이 펼쳐질 것이 공고되면, 학급은 집단상담 대형으로 앉게 된다 집단원은 집단상담에서의 초기에 불리고 싶은 별칭으로 자신의 이름을 정하고(명찰을 착용하고), 상호 공용어인 존댓말을…(drop)
초등학교에서 집단상담 사례연구에 대한 글입니다.순서
`한마당`이란 `학급재판소`의 운영 경험에서 오는 집단상담 경험이 아동의 대인간 문제해결사고 능력과 아동의 자아존중감 척도를 어느 정도 향상시킬 수 있는가에 대한 연구입니다.초등학교집단상담사례연구 , 초등학교에서 집단상담 사례연구인문사회레포트 ,
초등학교에서 집단상담 사례연구에 대한 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