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과기정보시스템 밑그림 완성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08 13:11본문
Download : 20060719.jpg
다.
과기혁신본부 관계자는 “2007년 12월까지 NTIS를 구성할 주요 시스템을 구축하고, 2008년부터 시스템을 안정화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국가적 큰 틀에서 종합 조정을 할 수 없었던 것.
이은용기자@전자신문, eylee@
R&D 수행 주체와 국민이 함께 호흡하는 개방형 시스템을 구축함으로써 중복 연구·투자를 자동으로 막아내는 체계를 확립하기로 했다. 인력 양성계획, 인프라 구축 등 과기정책 수립 지원체계로도 활용한다.
Download : 20060719.jpg( 80 )
◇구축 방안(方案)=오는 2009년까지 1200억여원을 투입해 국가 R&D 사업의 모든 단계(주기)에 걸쳐 기술·분야별 경쟁력, 타당성, 가능성 등을 포괄적으로 감시(모니터링)하는 체계를 구축한다. 국가 차원에서 과학기술 전문 인력, 장비·기자재를 공동 활용하는 것은 물론이다.
레포트 > 기타
◇현황과 drawback(걸점)=정부 19개 R&D 관련 부·처·청, 100여개 처리해야할문제 관리기관에서 3만여개 연구 처리해야할문제를 제각기 추진한 나머지 효율적인 계획을 수립하기에 어려웠다.국가과기정보시스템 밑그림 완성
18일 과학기술혁신본부에 따르면 정부는 지난 1월부터 7개월여간 국가 R&D사업을 종합적으로 관리·기획하기 위한 NTIS의 상세 설계, 정보기술아키텍처(ITA:Information Technology Architecture) 등 밑그림을 완성했다.
국가과기정보시스템 밑그림 완성
순서
설명
국가과기정보시스템 밑그림 완성
NTIS 구축사업을 주관하는 과기혁신본부는 이 같은 기초 작업 결과를 토대로 △국가R&D 사업관리시스템 △과기혁신정책정보시스템 △성과관리·확산지원시스템 △과기정보공동활용지원시스템 △과기인력종합정보시스템 △지역기술혁신지원시스템 △장비·기자재정보시스템 △과기정보관리·유통기반시스템(플랫폼)의 8대 세부 시스템 구축을 이달 본격화한다. 데이터베이스 항목·시스템 표준화를 토대로 분산·통합 방식의 개방형 연구개발(R&D) 종합지원시스템을 구축할 계획이다.





국가과기정보시스템 밑그림 완성
오는 2009년부터 가동할 국가과학기술종합정보시스템(NTIS:National Science and Technology Information System)의 윤곽이 나왔다.
또 국가 R&D 투자재원이 9조원에 육박했으나 성과를 활용·확산하는 체계가 미약하고, 정보 교류·협업체계가 부실해 R&D 투자 효율성과 생산성이 떨어져 improvement(개선)이 요구됐다.
◇기대 효능=국가 R&D 투자 방향·규모 설정, 성과 중심의 R&D 사업 기획, 중장기 이공계 인력 수요 예측 등을 과기 정책 수립을 위한 객관적인 지표로 활용할 수 있으리라는 게 과기혁신본부의 기대다.
NTIS를 초고속 연구개발망, 슈퍼컴퓨터 등과 연계해 차세대 R&D 인프라로 활용할 수도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된다. 이를 위해 국가 차원에서 표준화한 통합 데이터베이스(DB)를 구축할 방침이다. 또 국가 R&D 예산(올해 8조9000억원) 대비 1%에 달하던 중복 사업 비율, 5% 수준인 장비 중복 구매 비율을 크게 improvement(개선)할 수 있을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