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학] 한국특수교육의 성립과 발전과정
페이지 정보
작성일 21-02-19 18:40
본문
Download : [교육학] 한국특수교육의 성립과 발전과정.hwp
한국특수교육의 성립과 발전과정
1) 고전적 특수교육기
- 세종실록 (세종27년 3월 무인조, 1445) → 우리나라 특수교육의 성립기점
- 점복교육실시
ⓛ 조선중기 이후 : 명통사가 없어짐.
② 임란 직후 : 맹인들 스스로 맹청 설립하여 점복교육 실시 → 생업에 종사. 관습도감을 설치하여 궁중 향연과 제향의 반주를 맡기도 함
2) 근대특수교육이식기
ⓛ 유길준의 서유견문 : 근대특수교육을 처음으로 introduce → 장애인도 교육이 가능하다는 사실을 인식시킴
② Hall여사: ㉠ 조선훈맹점자고안 초등독본, 기도문, 십계명 등을 점역
㉡ 특수교육을 처음 한 사람은 미국인 감리교 선교사이며 의사인 Hall여사
㉢ Hall여사는 4점형 한글 점자를 창안하고, 한국말 초보, 십계명, 성경책 등을 출판하여 점자를 보급
㉣ 오석형의 딸인 맹소녀 오봉래에게 처음으로 맹교육을 처음 함
㉤ 1903년에는 평양 서문 밖 대찰리에 있는 정진소학교에 맹아학급을 설치, 부분적으로 통합교육을 실시함으로서 동양에서 최초로 통합교육을 처음 함
㉥ Hall여사는 1909년 이익민을 china(중국) 체후에 보내어 농교육을 배우게 하여 농교육 처음
③ 한국 근대 특수교육의 성립과정
* 한일합방 전
㉠ 평양: Hall여사의 여맹학교, 농학교 / Muffet부인의 난맹학교 설립 운영
㉡ 서울: Perry가 난맹아 기숙학교 설립 운영
* 한일합방 후
㉠ 조선총독부에 재생원 관제 및 규칙을 제정·공포 (1912)
㉡ 제생원에 맹아부를 두고 복지시설형 특수교육기관을 설립·운영 (1913) → 제생원 통합
㉢ 안마술, 침술, 구술, 영업취체규칙을 제정하여 맹인들의 자립을 촉진 (1914)
㉣ 박두성 선생에 의한 훈민정…(drop)
설명
순서
[교육학] 한국특수교육의 성립과 발전과정
교육학,한국특수교육,성립과,발전과정,사범교육,레포트
[교육학] 한국특수교육의 성립과 발전과정 - 미리보기를 참고 바랍니다. , [교육학] 한국특수교육의 성립과 발전과정사범교육레포트 , 교육학 한국특수교육 성립과 발전과정
![[교육학]%20한국특수교육의%20성립과%20발전과정_hwp_01.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A%B5%90%EC%9C%A1%ED%95%99%5D%20%ED%95%9C%EA%B5%AD%ED%8A%B9%EC%88%98%EA%B5%90%EC%9C%A1%EC%9D%98%20%EC%84%B1%EB%A6%BD%EA%B3%BC%20%EB%B0%9C%EC%A0%84%EA%B3%BC%EC%A0%95_hwp_01.gif)
![[교육학]%20한국특수교육의%20성립과%20발전과정_hwp_02.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A%B5%90%EC%9C%A1%ED%95%99%5D%20%ED%95%9C%EA%B5%AD%ED%8A%B9%EC%88%98%EA%B5%90%EC%9C%A1%EC%9D%98%20%EC%84%B1%EB%A6%BD%EA%B3%BC%20%EB%B0%9C%EC%A0%84%EA%B3%BC%EC%A0%95_hwp_02.gif)
Download : [교육학] 한국특수교육의 성립과 발전과정.hwp( 55 )
레포트/사범교육
- make preview 를 참고 바랍니다.
[교육학] 한국특수교육의 성립과 발전과정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