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 화상환자 간호
페이지 정보
작성일 19-11-23 12:23
본문
Download : ★ 화상 환자의 간호.hwp
1)Curling`s Ulcer
·담마진 - 원형으로 평평하게 융기됨.
1. 급성기 치료
간호, 화상, 화상환자, 레포트, 교육자료, 켈로이드, 박리, 팽진
·소수포 - 피부표면이 원형으로 융기되고 그 안에 액체가 축적됨.
2. 화상부위관리에 대한 간호
·미란 - 피부표면이 상실, 피부표면은 습기가 있으나 출혈은 없다.
2) 이뇨기
1) 체액 상실기
1)초기 상처관리
·궤양 - 피부표면이 깊숙이 상실되어 출혈, 상흔이 있다
화상의 병태생리및 화상 종류별 간호를 자세히 정리
·구진 - 직경 1cm 이하의 융기. 반점은 직경 1cm 이상의 융기
2) 화학약품에 의한 화상
3) 열에 의한 화상
5. 화상환자의 합병증간호
1) 중증화상
·점상출혈 - 피가 흐르는 것이 아니라 날듯 말듯 붉게 되는 상태.
2. 피부계 장애 환자의 신체사정에서 볼 수 있는 병변의 형태
3)수치료
2. 피부계 장애 환자의 신체사정에서 볼 수 있는 병변의 형태
·위축 - 표피의 부속물이나 진피가 일부 상실된 상태.
·피진 - 피부표면에 융기, 함몰이 없고 색깔만 변화됨(직경 1cm 이상은 반점)
·허혈 - 창백하고 차가우며 동통이 있다
·인설 - 각질층에서 떨어진 건조하거나 기름진 죽은 조직.
2) 중등도 화상
순서
·농포 - 피부표면이 원형으로 융기되고 그 안에 소수포의 축적된 액체대신 농이 축적된 상태.
·켈로이드 - 콜라겐 성분이 인체에 많아 살이 부풀어오름.





레포트 > 의학계열
·팽진 - 융기되어 있고 팽팽하게 퍼져있으며 다양하고 불규칙한 모양.
4 화상환자 재활기 간호
5. 화상환자의 상태에 따른 분류인 중증화상, 중등도 화상, 경증화상과 1도 화상,2도 화상, 3도 화상
·태선화 - 피부가 건조하고 가죽같이 두꺼워진 상태.
본문내용 1. 정상 피부계의 해부학적 구조와 생리적 기능
피부는 표피와 진피, 그리고 피부의 부속기관인 털, 손톱 및 발톱 그리고 피부샘으로 구성되어 있다 피부는 몸을 외부의 자극으로부터 보호하고 체온을 조절하며, 외부자극의 감수 및 비타민 D를 저장하는 기능이 있다 또 청결분비, 배설 작용 그리고 신진대사작용 등 중요한 기능을 한다.
·결절 - 피부 혹은 피하조직에 생긴 직경 1cm 미만의 피부병변. 직경 1cm 이상은 종양
Download : ★ 화상 환자의 간호.hwp( 60 )
2)피부 경축
화상의 병태생리및 화상 종류별 간호를 자세히 요점
★ 화상환자의 응급시 간호
6) 제 3도 화상
[간호] 화상환자 간호
2. 특수 화상
·해족증 - 상흔이 비후된 상태.
설명
·반 - 편평하고 융기되어 있으며 1cm보다 거칠고 단단하며 때로는 구진들이 합쳐서 생김.
2)가피절제술
3. 체액의 구성성분
4) 1도 화상
·구열 - 진피까지 찢어진 상태.
4. 체액 상실기와 이뇨기
8. 화상환자의 전해질 수치중 Sodium, potassium이 갖는 임상적 의의를 기술하시
5) 제 2도 화상
3) 경증 화상
1. 정상 피부계의 해부학적 구조와 생리적 기능
·가골 - 동통이 없고 피부가 딱딱해 지는 것.
화상 환자의 간호
·박리 - 표피가 벗겨진 상태
4)개방법과 폐쇄법
·가피 - 피부위에서 혈청, 혈액, 농과 같은 삼출물이 건조된 것.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