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고서)산업안전보건법
페이지 정보
작성일 19-09-26 09:55
본문
Download : (레포트)산업안전보건법.pptx
2
_SLIDE_5_
유해위험 예방조치
작업환경의 안전조치, 보건조치, 필요시의 작업 중지나,
안전 보건에 대한 노사간의 협의체 구성에 대하여 이야기
하고 있으며, 또한 안전 보건교육의 불가피함, 관리
…(생략(省略))
레포트/의약보건
Download : (레포트)산업안전보건법.pptx( 16 )
(보고서)산업안전보건법
%EC%82%B0%EC%97%85%EC%95%88%EC%A0%84%EB%B3%B4%EA%B1%B4%EB%B2%95_pptx_01.gif)
%EC%82%B0%EC%97%85%EC%95%88%EC%A0%84%EB%B3%B4%EA%B1%B4%EB%B2%95_pptx_02.gif)
%EC%82%B0%EC%97%85%EC%95%88%EC%A0%84%EB%B3%B4%EA%B1%B4%EB%B2%95_pptx_03.gif)
%EC%82%B0%EC%97%85%EC%95%88%EC%A0%84%EB%B3%B4%EA%B1%B4%EB%B2%95_pptx_04.gif)
%EC%82%B0%EC%97%85%EC%95%88%EC%A0%84%EB%B3%B4%EA%B1%B4%EB%B2%95_pptx_05.gif)
%EC%82%B0%EC%97%85%EC%95%88%EC%A0%84%EB%B3%B4%EA%B1%B4%EB%B2%95_pptx_06.gif)
(보고서)산업안전보건법
다.(레포트)산업안전보건법 , (레포트)산업안전보건법의약보건레포트 , 레포트 산업안전보건법
설명
순서
레포트,산업안전보건법,의약보건,레포트
_SLIDE_1_
산업안전 보건법
_SLIDE_2_
Contents
산업안전보건법 제정 및 배경
1
법령의 체계
근로자의 건강과 안전을 보호해야 하는 이유
산업안전 보건 example(사례)
일반적인 의무 & 안전보건 관리 체계
4
2
3
5
_SLIDE_3_
산업안전 보건법 제정 및 배경
근로기준법
근로기준법은 “근로조건의 기준은 법률로서 정하고 여자와 연소자의 근로는 특별보호를 받는다”
라는 헌법에 근거를 두고 1953년 5월 10일 제정되었다
산업안전 보건법
근로기준법 제 6장에 안전과 보건에 관한 10개 조항을 규정하고 산업재해의 발생을 예방하고자
사업주로 하여금 그 준수를 강제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사업장에 있어서의 기계설비의 대형화,
고속화, 규모의 경제등 건설공사의 대규모화등에 따른 중대재해 발생이 급증하고 유해물질의
대량사용 등 으로 새로운 직업성 질병이 증가하는 등 산업사회의 급속한 change(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근로기준법에서...
_SLIDE_1_
산업안전 보건법
_SLIDE_2_
Contents
산업안전보건법 제정 및 배경
1
법령의 체계
근로자의 건강과 안전을 보호해야 하는 이유
산업안전 보건 example(사례)
일반적인 의무 & 안전보건 관리 체계
4
2
3
5
_SLIDE_3_
산업안전 보건법 제정 및 배경
근로기준법
근로기준법은 “근로조건의 기준은 법률로서 정하고 여자와 연소자의 근로는 특별보호를 받는다”
라는 헌법에 근거를 두고 1953년 5월 10일 제정되었다
산업안전 보건법
근로기준법 제 6장에 안전과 보건에 관한 10개 조항을 규정하고 산업재해의 발생을 예방하고자
사업주로 하여금 그 준수를 강제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사업장에 있어서의 기계설비의 대형화,
고속화, 규모의 경제등 건설공사의 대규모화등에 따른 중대재해 발생이 급증하고 유해물질의
대량사용 등 으로 새로운 직업성 질병이 증가하는 등 산업사회의 급속한 change(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근로기준법에서 분리하여 새로운 독립법 제정이 당위성이 대두되어 1981.12.31 산업안전보건법령이 제정.
1
_SLIDE_4_
법령의 체계
산업안전보건법령은 국회의 의결을 거쳐 대통령이 공포한 1개의 법률인 산업안전보건법,
국무회의의 심의를 거쳐 대통령이 공포한 1개의 대통령령인 산업안전기준에 관한규칙,
산업보건 기준에 관한 규칙 유해 위협작업 취업 제한에 관한규칙, 그리고 세부적인 기준
및 절차를 마련한 고시 예규 훈령등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효력순위는 법, 대통령령,
부령, 고시 등의 순서로 되어 있으므로 상위법령에 위배되는 하위규정은 그 효력이 발생
하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