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문학] ≪중원음운≫과 ≪고금운회거요≫의 비교연구
페이지 정보
작성일 19-09-26 11:50
본문
Download : 중어중문과_26.hwp
≪古今韻會擧要≫는 기본적인 배열과 구성은 ≪任子新刊禮部韻略≫을 따랐으며, 反切도 ≪集韻≫의 反切을 따랐다. 그러나 ≪古今韻會擧要≫의 작자는 당시의 실제어음을 반영하기 위하여 一群의 同音字群의 끝에 이들이 共有하는 韻母를 字母韻이라는 이…(省略)
설명
중원음운,고금운회거요,중국어,인문사회,레포트
Download : 중어중문과_26.hwp( 65 )
Ⅰ. 序 言 , Ⅱ. ≪中原音韻≫과 ≪古今韻會擧要≫의 製作과 體制, Ⅲ. 有關韻書, Ⅳ. ≪中原音韻≫과 ≪古今韻會擧要≫의 韻母比較, Ⅴ. 結 語, 파일크기 : 49K
다.
Ⅰ. 序 言 , Ⅱ. ≪中原音韻≫과 ≪古今韻會擧要≫의 製作과 體制, Ⅲ. 有關韻書, Ⅳ. ≪中原音韻≫과 ≪古今韻會擧要≫의 韻母比較, Ⅴ. 結 語, FileSize : 49K , [중문학] ≪중원음운≫과 ≪고금운회거요≫의 비교연구인문사회레포트 , 중원음운 고금운회거요 중국어






순서
레포트/인문사회
[중문학] ≪중원음운≫과 ≪고금운회거요≫의 비교연구
Ⅰ. 序 言
Ⅱ. ≪中原音韻≫과 ≪古今韻會擧要≫의 製作과 體制
Ⅲ. 有關韻書
Ⅳ. ≪中原音韻≫과 ≪古今韻會擧要≫의 韻母比較
Ⅴ. 結 語
≪中原音韻≫은 전통적 운서 체제를 따르지 않고 혁신적인 分韻法에 의하여 현대 공통한어의 母胎라고 할 수 있는 中京을 중심으로 한 당시의 北方語音을 그 대로 반영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