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 비잔틴 양식
페이지 정보
작성일 19-06-16 20:30
본문
Download : 비잔틴양식.hwp
1.비잔틴건축?, , 2.장식미술】, , 3.개관 , , 4.건축양식의 property(특성), , 5.교회건축 , , , 파일크기 : 699K
[건축] 비잔틴 양식






레포트/예체능
설명
1.비잔틴건축?, , 2.장식미술】, , 3.개관 , , 4.건축양식의 특성, , 5.교회건축 , , , FileSize : 699K , [건축] 비잔틴 양식예체능레포트 , 비잔틴 비쟌틴 건축 양식
1.비잔틴건축?
2.장식미술】
3.개관
4.건축양식의 特性
5.교회건축
비잔틴 건축가는 토목공사나 궁전건축에도 뛰어난 재능을 가졌으며, 콘스탄티노플의 빈 비르 딜레크[千一柱]라고 불리는 지하 대저수소(大貯水所) 등에서 그 편린이 엿보이나 건축의 주요한 것으로는 성당이다. 종교의식을 목적으로 하는 집회를 위해서는 사제(司祭)를 위한 제실(祭室) 및 내진(內陣)과, 신도(信徒)를 위한 신랑(身廊)이 있어야 하기 때문에 고대 말기의 공공건축의 종장식(縱長式:바실리카식) 설계가 채용되었다. 원 모양의 지붕을 씌운 집중식 건축은 성스러운 천계(天界)로 덮인 종교적 공간을 구성하고, 그 원형은 고대 로마에도 있으나 5세기부터 세례당(洗禮堂), 묘당(廟堂), 순교…(drop)
순서
Download : 비잔틴양식.hwp( 70 )
비잔틴,비쟌틴,건축,양식,예체능,레포트
다. 이 반원 모양의 지붕은 신의 자리로서의 상징적 의미를 갖는 것이었다. 그러나 그 경우, 제실은 거의 언제나 반원상(半圓狀)으로 돌출하고, 반원 모양의 지붕을 덮었다. 성당 건축은 한편으로는 종교의식이라고 하는 기능에 따른 계획인 동시에, 다른 한편으로는 하느님의 집이라고 하는 강한 상징적 성격을 가진다. 그러나 그러한 의미로는 오히려 원 모양의 지붕이 상징성이 강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