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와 길약어의 관계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27 17:14본문
Download : 한국어와 길약어의 관계.hwp
그리고 이들 소수 민족은 아마 원시 우랄족이나 알타이족과 많은 공통성을 가지고 있었 음이 확실하다고 말한바 있다
(2) 지리적 배경
고아시아어의 하나이며 현재 아무르강 하류와 사할린 북쪽 일부에 살고 있는 길약족 (Gilyak)은 그 민족적 기원과 고대사를 알 수 없으나 그 언어를 보면 이 언어가 알타이 어 특히 퉁구스어에 影響(영향)을 준 것이 확실하다고 전제하고 있다 (끄레이노비치 krejnovic …(省略)
,인문사회,레포트
2. 길약어의 역사적·지리적 배경(1) 역사적 배경 람스테드(Ramstedt 1957: 16)는 만주 동쪽에서 길약족(Gil... , 한국어와 길약어의 관계인문사회레포트 ,
순서
레포트/인문사회
한국어와 길약어의 관계
Download : 한국어와 길약어의 관계.hwp( 75 )
2. 길약어의 歷史적·지리적 배경
(1) 歷史적 배경
다. 람스테드(Ramstedt 1957: 16)는 만주 동쪽에서 길약족(Gil...





설명
2. 길약어의 history(역사) 적·지리적 배경
(1) history(역사) 적 배경
람스테드(Ramstedt 1957: 16)는 만주 동쪽에서 길약족(Gilyak) 혹은 그 선조와 친연 관 계가 있는 종족이 살고 있었으며, 또 다른 고아시아족이 알타이족에 인접해 살고 있는 데 이들은 뒤에 알타이족화 했을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