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 식 학 개 론
페이지 정보
작성일 19-06-17 03:39본문
Download : 유 식 학 개 론.hwp
그…(drop)
다.
따라서 이러한 마음은 이 세계에 관한 관념은 물론이고 사상이나 감정 등을 모두 받아들인 결과라고 볼 수가 있는데, 정작 마음은 그 성질이 상주하여 불멸하는 존재가 아니라 일단 일어난 순간에 없어져서 다시 다음 순간의 그것과 교차되는 것으로서 마치 폭포수에서 물이 계속하여 흐르는 것과 같다.
,인문사회,레포트






레포트/인문사회
Download : 유 식 학 개 론.hwp( 85 )
설명
유322 , 유 식 학 개 론인문사회레포트 ,
유 식 학 개 론
유322
순서
1. 유식설
1) 유식설
이 세상에 존재하는 모든 것은 궁극적으로 그 원리를 watch하여 보면, 외부에 존재하는 사물 자체에 가치의 기준이 있는 것이 아니고 사실은 이 세상의 누구나 갖고 있는 자기 마음의 인식 여하에 달려 있다는 이 유심설(唯心說)은, 그만큼 우리의 마음이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는 사실을 강조한 것이다. 그러므로 마음을 떠나서 모든 것이 그대로 의연하게 존재한다는 실재론(實在論)에 관한 인식 그 자체도 사실은 마음이 만들어낸 표상(表象)에 불과하며, 외계의 실재가 마음에 영사(映寫)되어 표상이 형성된 것이 아니고, 마음 스스로가 표상을 만들어낸 결과에 지나지 않다는 것이다. 이렇게 하여 하나의 생각이나 복합적인 사고가 형성되면, 그것을 유지해 줄 수 있는 힘이 존재하는 상태에서는 계속해서 한 흐름으로 유지되는데, 이러한 경우를 일컬어서 ‘마음의 흐름’이라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