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민족의기원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29 02:21
본문
Download : 한민족의기원.hwp
지금까지 확인된 길림지구 서단산 문
화유적(거주지·무덤·유물산포지 포함)은 모두 112곳이다. 후석산의 토기 형제는 중기의 특징을 가졌다. 화
덕이 있는데 불씨를 보존하여 사용한 것으로 보고 있따 토성자의 토기종류는 중기유적보
다 증가되었으나 여전히 작은 것들은 일치한다. 부관을 발견하지 못하였는데 서단산 文化 고
분은 처음에는 부관이 없다가 나중에 부관이 있는 것으로 발전하고 마지막에는 부관이 없
어졌다. 성성초의 토기형제는 초기의 특징을 가졌고 유물종류도 서
단산과 기복적으로 같다. 청동무기는 동검과 표주박형 창이 남
아있따 주거지는 기복적으로 규칙적이며 정형된 반수혈식이다. (1) 서단산 文化론
1946년 동북고고발굴단은「길림서단산석관묘발굴보고」에서 서단산 유적 내에 포함된 같
은 文化유적은 이름을 `서단산 文化`로 부르자는 건의를 하였고, 그 제의는 그 이후부터 오
늘날까지 고고학계와 역싸학계에서 받아들여지고있따
1) 길림 서단산 文化유적의 분포와 발굴
송화강 양쪽에 특히 길림시 부근과 영길현 경내의 강 양쪽 언덕에 해발 200~360m 사이
의 낮은 구릉산과 부근 수면에서 3~10m의 낮은 언덕사이에 다량의 서단산 文化유적이 분
포되어 있따 그곳의 유적들은 주거지와 무덤들이다. 주거지는 모두 반수혈식이고, 파괴되었으나 잔존담이 아직 남아
있따 성성초의 주거지에도 노지가 있었다.
2) 길림지구 서단산 文化유적의 발전서열과 분기
유물유형, 주거지와 구분결구의 차이 그리고 C14의 결과 등을 근거해서 서단산 文化를 전
기·중기·후기 등 3기로 나누고 있따
서단산 토기는 비교적 단순하고 초기의 특징을 가지고 있따 주거지는 반수혈 주거지로 노
지가 있었다. 서단산의 석관묘결구를 보면 판석을 세운 것과 돌덩이를 쌓은 무덤의 수량이
거의 같고 부관이 상당히 많다. 무덤은 4구역으로 나누어졌고, 판석을 세워만
든 무덤이 돌덩이를 쌓아 만든 것보다 많다. 담은 돌덩이로 쌓았다.…(투비컨티뉴드 )
설명
순서
,인문사회,레포트
한민족의기원 , 한민족의기원인문사회레포트 ,
한민족의기원
Download : 한민족의기원.hwp( 36 )






한민족의기원
레포트/인문사회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