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 창덕궁의 history에 대하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01 17:24
본문
Download : 창덕궁의 역사[1].hwp
창덕궁 조성공사는 태종 4년(1404) 10월에 처음 , 다음 해 10월에 일단 끝난 단기간의 공사이므로 태종은 재위중 계속하여 궁안의 문이나 누…(생략(省略))
Download : 창덕궁의 역사[1].hwp( 53 )
■창덕궁의 역사 <서울특별시 종로구 와룡동 2-71>, , 1. 태종(太宗)의 신궁(新宮) 영건(營建), 2. 창건후 임진난(任辰亂)까지 , 3. 광해군 이후 순조까지, 4. 일제시대의 창덕궁, , ■배치와 특징, , 1. 돈화문 (보물 제383호) , 2. 금천교 , 3. 진선문 , 4. 숙장문 , 5. 인정문 (보물 제813호) , 6. 인정전 (국보 제225호) , 7. 선정전 (보물 제814호) , 8. 희정당 (보물 제815호) , 9. 대조전 (보물 제816호) , 10. 경훈각 , 11. 내의원 , 12. 어차고 , 13. 낙선재 , 14. 영화당 , 15.부용정 , 16. 부용지 , 17. 주합루 , 18. 애련지 (애련정) , 19. 연경당 , 20. 선향재 , 21. 관람정 , 22. 옥류천 , 23. 다래나무 , 24. 신선원전 , 26. 향나무 , , FileSize : 151K , [한국사] 창덕궁의 역사에 대하여인문사회레포트 , 창덕궁 한국고궁 고궁
■창덕궁의 history <서울특별시 종로구 와룡동 2-71>, , 1. 태종(太宗)의 신궁(新宮) 영건(營建), 2. 창건후 임진난(任辰亂)까지 , 3. 광해군 이후 순조까지, 4. 일제시대의 창덕궁, , ■배치와 특징, , 1. 돈화문 (보물 제383호) , 2. 금천교 , 3. 진선문 , 4. 숙장문 , 5. 인정문 (보물 제813호) , 6. 인정전 (국보 제225호) , 7. 선정전 (보물 제814호) , 8. 희정당 (보물 제815호) , 9. 대조전 (보물 제816호) , 10. 경훈각 , 11. 내의원 , 12. 어차고 , 13. 낙선재 , 14. 영화당 , 15.부용정 , 16. 부용지 , 17. 주합루 , 18. 애련지 (애련정) , 19. 연경당 , 20. 선향재 , 21. 관람정 , 22. 옥류천 , 23. 다래나무 , 24. 신선원전 , 26. 향나무 , , 파일크기 : 151K
레포트/인문사회
다. . 태종(太宗)의 신궁(新宮) 영건(營建) 태조4년(1395) 9월에 새 궁궐 경복궁이 완성된 후, 얼마되지 않아 태조 7년 8월에 '왕자의 난'이 일어나 세자 방석이 죽자 태조는 왕위를 정종(定宗)에게 양위한다. 태종이 즉위하여 한양(서을)으로 재천도하게 되는데 이 무렵 이궁(離宮 ; 태자궁, 세자궁의 총칭)으로 지은 것이 창덕궁이다. 현재는 관람객들은 가이드를 따라 들어가도록 되어 있죠. 도심지에 이렇게 아름다운 곳이 있는데도, 자주 찾는 사람은 별로 없는 듯 합니다. 그러나 정종은 개성으로 돌아가고 다음 해에 제2차 왕자의 난이 일어나자 정종은 방원에게 양위하니 그가 바로 조선 3대 임금인 태종이다. 그러나 창덕궁은 그럴 만한 가치가 있습니다.
순서
[한국사] 창덕궁의 history에 대하여
설명
창덕궁,한국고궁,고궁,인문사회,레포트
![창덕궁의%20역사[1]_hwp_01.gif](http://www.allreport.co.kr/View/%EC%B0%BD%EB%8D%95%EA%B6%81%EC%9D%98%20%EC%97%AD%EC%82%AC%5B1%5D_hwp_01.gif)
![창덕궁의%20역사[1]_hwp_02.gif](http://www.allreport.co.kr/View/%EC%B0%BD%EB%8D%95%EA%B6%81%EC%9D%98%20%EC%97%AD%EC%82%AC%5B1%5D_hwp_02.gif)
![창덕궁의%20역사[1]_hwp_03.gif](http://www.allreport.co.kr/View/%EC%B0%BD%EB%8D%95%EA%B6%81%EC%9D%98%20%EC%97%AD%EC%82%AC%5B1%5D_hwp_03.gif)
![창덕궁의%20역사[1]_hwp_04.gif](http://www.allreport.co.kr/View/%EC%B0%BD%EB%8D%95%EA%B6%81%EC%9D%98%20%EC%97%AD%EC%82%AC%5B1%5D_hwp_04.gif)
![창덕궁의%20역사[1]_hwp_05.gif](http://www.allreport.co.kr/View/%EC%B0%BD%EB%8D%95%EA%B6%81%EC%9D%98%20%EC%97%AD%EC%82%AC%5B1%5D_hwp_05.gif)
![창덕궁의%20역사[1]_hwp_06.gif](http://www.allreport.co.kr/View/%EC%B0%BD%EB%8D%95%EA%B6%81%EC%9D%98%20%EC%97%AD%EC%82%AC%5B1%5D_hwp_06.gif)
■창덕궁의 역사(歷史) <서울특별시 종로구 와룡동 2-71>
1. 태종(太宗)의 신궁(新宮) 영건(營建)
2. 창건후 임진난(任辰亂)까지
3. 광해군 이후 순조까지
4. 일제시대의 창덕궁
■배치와 특징
1. 돈화문 (보물 제383호)
2. 금천교
3. 진선문
4. 숙장문
5. 인정문 (보물 제813호)
6. 인정전 (국보 제225호)
7. 선정전 (보물 제814호)
8. 희정당 (보물 제815호)
9. 대조전 (보물 제816호)
10. 경훈각
11. 내의원
12. 어차고
13. 낙선재
14. 영화당
15.부용정
16. 부용지
17. 주합루
18. 애련지 (애련정)
19. 연경당
20. 선향재
21. 관람정
22. 옥류천
23. 다래나무
24. 신선원전
26. 향나무
창덕궁. 비원으로 잘 알려진 곳. 원래는 경복궁이 정궁이지만, 실제로 조선의 많은 왕들이 기거했던 곳이죠. 조선의 궁궐 중에서 가장 아름다운 궁궐이 창덕궁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