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러스교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18 04:59
본문
Download : 트러스교.hwp
트러스교 , 트러스교공학기술레포트 ,
본 자료(data)는 트러스교에 대해 조사요약한 보고서입니다. 한편, 부재를 회전하지 못하도록 고정해도 큰 지장이 없음을 알게 되어 핀을 사용한 트러스교는 만들지 않게 되었다.
트러스교
설명
Download : 트러스교.hwp( 92 )
레포트/공학기술
,공학기술,레포트
순서






1. 서론
2. 본론
2. 1. 광안대교
2. 2. 성수대교
2. 3. 한강대교
2. 4. 동호대교
2. 5. 성산대교 (城山大橋)
3. conclusion(결론)
트러스교(Truss Bridge)의 기원은 옛날의 트러스 부재가 대부분 핀으로 연결되어 있었으나, 구조가 복잡하며 내구성이 뒤지고 핀은 대개 녹이 슬어 그 작용이 완전하지 못한 결함이 있었다. 트러스교가 고안된 초기 무렵은 부재와 부재의 핀 결합이라는 theory(이론)상의 가정을 가급적 만족하도록 설계하였으나, 핀 결합된 트러스는 전체의 강성이 적으며 오랫동안 교통하중이 반복하여 작용하면 아이바의 구멍이 마모되기 때문에 타원형으로 넓어져서 핀 결합으로서의 기능을 다하지 못하고 내구성 면에서 좋지 않은 경우가 많이 있따
트러스의 기본 구조
따라서 근래에는 격점부를 용접 또는 고장력 볼트로 결합한 강결 트러스가 주로 사용되고 있따 트러스교는 일반적으로 지간이 50∼100m 정도에 알맞는 형식으로, 비교적 작은 중량의 부재를 순차조립하여 큰 강성을 얻을 수 있으므로 외팔보 공법(Free Cantilevering Method)의 채용이 다른 형식보다 유리하며, 또한 개개 부재의 단면이 작기 때문에 운반이 용이하며, 해협이나 산간 계곡 등에 적…(drop)
다.
트러스교의 특징은 트러스교는 경간(徑間:span)이 커지면 평판 거더교보다 사용강재가 적어도 되지만 공작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불리한 단점이 있따 그러나 개개의 부재는 크기가 작고 가벼우므로 산간벽지와 같은 운반로가 없는 곳에서는 유리하며 비교적 간단하고 손쉬운 설비로 가설할 수가 있따 사용되는 트러스의 형식은 여러 가지가 있지만, 최근에는 평행현(平行弦)의 워런트러스 등이 많이 사용되고 있따
몇 개의 직선 부재를 한 평면 내에서 연속된 삼각형의 뼈대 구조로 조립한 것을 트러스(Truss)라고 하며, 트러스를 이용한 교량을 트러스교라고 한다.트러스교
본 자료는 트러스교에 대해 조사정리한 보고서입니다. 즉 트러스교는 곧은 부래를 부재 끝부분에서 마찰이 없는 힌지(hinge)로 결합한 삼각형의 뼈대 구조를 기본으로 하여 교량에 적합한 구조물로 조립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