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폐 스펙트럼 장애의 치료적 접근0k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11 16:15
본문
Download : 자폐 스펙트럼 장애의 치료적 접근0k.hwp
4. Dr. Greenspan이 권하는 종합적인 조기치료program
a. 발달적 놀이치료(2-5회/주)
b. 언어치료 c. 작업치료
d. Floor time
1) 관찰단계:
2) Approach-open circles of communication:
3) Follow the child`s lead:
4) Extend and expand play:
5) Child closes the circle of communication:
f. 통합교육(integrated class)
g. 특수교육적인 요소
h. 정신약물치료
IV. 어떻게 치료를 할 것인가
1. Dr. Greenspan에 의하면, 자기의지를 가지고 상호적인 인간관계를 보이는 개인-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유아기부터 어머니와 눈을 맞추지 않는다거나 소리를 들을 수는 있으면서도 고개를 돌려 쳐다보지도 않는다.
2. 자폐아를 치료하는 과정에서 특수한 능력을 더욱 발전시키도록 장려하는 행동은 바람직하지 못하다고 여긴다.
Download : 자폐 스펙트럼 장애의 치료적 접근0k.hwp( 22 )






잘 참고하시어 학업에 나날이
자폐스펙트럼장애의치료적접근0k
레포트/인문사회
설명
발전이 있기를 기원합니다 ^^
위 자료 요약정리 잘되어 있으니잘 참고하시어 학업에 나날이 발전이 있기를 기원합니다 ^^ 자폐스펙트럼장애의치료적접근0k , 자폐 스펙트럼 장애의 치료적 접근0k인문사회레포트 ,
위 資料 요약정리(arrangement) 잘되어 있으니
,인문사회,레포트
순서
자폐 스펙트럼 장애의 치료적 접근0k
자폐 스펙트럼 장애의 치료적 접근0k
: Stanley Greenspan의 치료모델
I. 서 론
1. 자폐증의 원인(原因)
2. Stanley Greenspan의 치료모델
3. 자폐증의 의료적 치료
1) 광영역 교육적 치료
(1) 주데빈센터 program (JCP : Judevior Center Program)
(2) 러틀랜드센터의 발달치료 program (DTRC : The Development Therapy of Rutland Center)
(3) 지역 개입 program(PIPP : A Parent-Implemented Preschool Program)
(4)언어발달program(LDBM : Language Development through Behavior Modification )
II. Stanley Greenspan이 이해하는 자폐증
1. Dr. Stanley Greenspan은 자폐아의 problem(문제점)들을 이해하기 위하여 발달영역에 대한 정확한 평가가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한다.
2. Dr. Greenspan은 자폐아들이 타인과 관계형성을 맺으면서 상호적인 소통이 발달하는 과정을 네 단계로 요약하였다.
3. Dr. Greenspan은 상호소통을 통해 관계형성을 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하는 치료가 중요하다고 주장하였다.
III. Comprehensive integrated treatment program
1. 우선적으로 자폐증을 진단하는 기간이 최대한 짧게 줄여져야 한다.
1) 치료상황에서 자폐아가 이끄는 대로 따라가는 것이 필요하다:
2) 아이가 무엇을 하든지 목적이 있고 의도적인 것으로 간주하라:
3) 치료자는 `마치 멍청한 것처럼` 행동하고 놀이(play dumb)함으로써 아이가 보이는 욕구를 확대시켜라:
4) 아이의 행동과 이에 대한 치료자의 reaction(반응)은 구분되어야 한다:
5) 아이가 하고싶은 것을 하도록 도와주어라.
6) 아이가 단순하고 원인(原因)-결과가 명백한 장난감에 관심을 갖도록 유도하라. 그러나 아이가 스스로 놀이에 접근하여 놀이를 하도록 하라:
7) 아이에게 해결해야 하는 처리해야할문제를 주라:
8) 아이의 문제해결 능력을 확장시키기 위한 건설적이고 선의의 방해공작이 필요할 때가 있다:
9) 아이가 하는 `no`를 진짜로 거부하는 것으로 간주하지 말라:
10) 아이가 장난감을 이것저것 살펴보고 선택하도록 격려하라:
11) 아이가 짜증을 부리고 화를 낸다고 하여 뒤로 물러서지 말라:
1) 센서 장난감을 `원인(原因)(조종)-결과(작동)` 방식으로 활용하라.
2) 아이가 즐거워하는 방식으로 아이의 놀이에 참여하라:
4) 다시 강조하지만, 말하고 행동하면서 얼굴 표정, 제스처, 목소리의 톤, 보디랭귀지 등을 상호 소통하는 노력에 이용하라.
5) 상징적인 놀이로 향하는 문을 열어라:
3. 집착증 내지는 상동증(perseveration)도 상호적인 놀이로 만들자.
V. 結論(결론) 및 제안
참 고 문 헌
I. 서 론
자폐아의 가장 특징적인 임상양상은 사람에 대한 reaction(반응)의 장애라고 할 수 있따 자폐증이라는 말 자체가 대인관계를 회피한다는 의미이다. 생후 6-7개월이 되면, 자신과 늘 함께 지내는 사람(주로 어머니)과 애착관계가 형성되어 어머니가 눈에 보이지 않거나 떨어지면 찾거나 우는 행동을 보이는데, 자폐 아동들은 이러한 행동도 관찰되지 않는다. 생후 2-3개월이 되면 주변사람의 자극에 대하여 웃는 reaction(반응)을 보이는 것이 정상 아동들의 reaction(반응)인데, 자폐 아동들은 이러한 reaction(반응)도 관찰되지 않는다. 안아 주어도 좋아하지를 않고, 몸을 뻗치면서 밀어내거나, 어머니를 보고도 안아 달라는 자세를 취하지 않는다.
2. Multisystem Developmental Disorder
3. Dr. Greenspan의 방법은 독특하면서도 자폐아 개개인의 차이점에 초점을 맞추어 접근하는 발달수준에 적합한 치료를 제공한다.
자폐 장애는 의사소통 능력의 장애, 사회적 관계형성능력에서의 극심한 결함, 특이하거나 제한된 흥미를 核心적인 증상으로 보이는 복잡한 발달 장애이다(D…(skip)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