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아시아정치변동分析(분석)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29 15:26
본문
Download : 동아시아정.hwp
동아시아정치변동分析(분석)
I. 동아시아 정치변동 모형의 의미
설명
II. 동아시아 정치변동 분석모형의 설계strategy
다. 즉, 앞서 논의한 바와 같이 기존의 분석모형에서 상정하고 있는 설명(explanation)변인들이 ‘동아시아적 고유성’을 지녔다고 말할 수는 없으며, 또 일부 동아시아 학자들에 의해 제시된 동아시아의 정치경제적 特性 역시 여타 지역과의 질적 discrimination성이라기 보다는 ‘정도의 차이’를 보여줄 뿐이다. 또한 유교문화를 필두로 한 문화적 고유성 역시 그 분포양상이 동아시아의 대표적 정향이라고 말할 수 있을 정도로 균일하지 못하며, 실제로 그 분포심도를 명확히 측정(測定) 할 수도 없는 상황이다. 바꾸어 말해서, 이러한 속성들을 동아시아의 상황을 배타적으로 지칭하는 류적(類的) 속성의 독립적 카테고리라고 볼 수 없다. 더 나아가, 동아시아 학자 자신들이 이러한 동아시아적 속성의 고유함 자체에 대해 상당한 의문을 표하고 있으며, 설령 그러한 속성이 존재한다 하더라도 그 표출양상이 역내 국가에 따라 “질적으로 다른” 성격을 지니고 있다는 점을 인정하고 있다.





동아시아정치 정치변동 동아시아 / 김영명. 1996.『동아시아 발전 모델의 재검토, 한국과 日本 의 경우』. 서울: 소화.
Download : 동아시아정.hwp( 63 )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______(편). 1998.『동아시아의 정치체제』. 춘천: 한림대학교 출판부.
김웅진. 1993. “Boole의 대수학적 연산방식을 통한 정성적 비교分析(분석) - 기본전제와 절차.”
『국제정치논총』33집 1호, 235-49. ()
동아시아정치 정치변동 동아시아
순서
동아시아정치 정치변동 동아시아 / 김영명. 1996.『동아시아 발전 모델의 재검토, 한국과 일본의 경우』. 서울: 소화. ______(편). 1998.『동아시아의 정치체제』. 춘천: 한림대학교 출판부. 김웅진. 1993. “Boole의 대수학적 연산방식을 통한 정성적 비교분석 - 기본전제와 절차.” 『국제정치논총』33집 1호, 235-49. ()
III. 요약과 결론 방법론적 측면에서 볼 때, 현 상황하에서 동아시아적 고유성과 독特性을 설명(explanation)변인으로 상정한 정치변동 분석모형은 부울 연산 모형을 제외하고는 구축하기 어렵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