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복지] 훈민정음의 기원설들과 모아쓰기에 대해
페이지 정보
작성일 19-10-20 14:08
본문
Download : [사회복지] 훈민정음의 기원설들과 모아쓰기에 대해.hwp
Download : [사회복지] 훈민정음의 기원설들과 모아쓰기에 대해.hwp( 72 )
[사회복지] 훈민정음의 기원설들과 모아쓰기에 대해
[사회복지] 훈민정음의 기원설들과 모아쓰기에 대해
순서
![[사회복지]%20훈민정음의%20기원설들과%20모아쓰기에%20대해_hwp_01.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82%AC%ED%9A%8C%EB%B3%B5%EC%A7%80%5D%20%ED%9B%88%EB%AF%BC%EC%A0%95%EC%9D%8C%EC%9D%98%20%EA%B8%B0%EC%9B%90%EC%84%A4%EB%93%A4%EA%B3%BC%20%EB%AA%A8%EC%95%84%EC%93%B0%EA%B8%B0%EC%97%90%20%EB%8C%80%ED%95%B4_hwp_01.gif)
![[사회복지]%20훈민정음의%20기원설들과%20모아쓰기에%20대해_hwp_02.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82%AC%ED%9A%8C%EB%B3%B5%EC%A7%80%5D%20%ED%9B%88%EB%AF%BC%EC%A0%95%EC%9D%8C%EC%9D%98%20%EA%B8%B0%EC%9B%90%EC%84%A4%EB%93%A4%EA%B3%BC%20%EB%AA%A8%EC%95%84%EC%93%B0%EA%B8%B0%EC%97%90%20%EB%8C%80%ED%95%B4_hwp_02.gif)
![[사회복지]%20훈민정음의%20기원설들과%20모아쓰기에%20대해_hwp_03.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82%AC%ED%9A%8C%EB%B3%B5%EC%A7%80%5D%20%ED%9B%88%EB%AF%BC%EC%A0%95%EC%9D%8C%EC%9D%98%20%EA%B8%B0%EC%9B%90%EC%84%A4%EB%93%A4%EA%B3%BC%20%EB%AA%A8%EC%95%84%EC%93%B0%EA%B8%B0%EC%97%90%20%EB%8C%80%ED%95%B4_hwp_03.gif)
![[사회복지]%20훈민정음의%20기원설들과%20모아쓰기에%20대해_hwp_04.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82%AC%ED%9A%8C%EB%B3%B5%EC%A7%80%5D%20%ED%9B%88%EB%AF%BC%EC%A0%95%EC%9D%8C%EC%9D%98%20%EA%B8%B0%EC%9B%90%EC%84%A4%EB%93%A4%EA%B3%BC%20%EB%AA%A8%EC%95%84%EC%93%B0%EA%B8%B0%EC%97%90%20%EB%8C%80%ED%95%B4_hwp_04.gif)
![[사회복지]%20훈민정음의%20기원설들과%20모아쓰기에%20대해_hwp_05.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82%AC%ED%9A%8C%EB%B3%B5%EC%A7%80%5D%20%ED%9B%88%EB%AF%BC%EC%A0%95%EC%9D%8C%EC%9D%98%20%EA%B8%B0%EC%9B%90%EC%84%A4%EB%93%A4%EA%B3%BC%20%EB%AA%A8%EC%95%84%EC%93%B0%EA%B8%B0%EC%97%90%20%EB%8C%80%ED%95%B4_hwp_05.gif)
[사회복지] 훈민정음의 기원설들과 모아쓰기에 대해 , [사회복지] 훈민정음의 기원설들과 모아쓰기에 대해인문사회레포트 , 사회복지 훈민정음 기원설들과 모아쓰기 대해
훈민정음의 기원설들
1) china(중국) 옛 글자(古篆)
- ‘세종실록’<권 102, 42장 - 25년 12월 조>
- 정인지<훈민정음 뒷글>
- 이덕무<청장관전서(靑莊?全書)>
= 이덕무의 경우엔 ㅅ이 ‘人’에서 왔다는 등의 예시를 들고 있으나, ‘세종실록’이나 정인 지의 기록에는 이 같은 說明(설명) 이 없어 신뢰성이 없다.
=> 고문에서 왔다고 하기 보다는 고문을 본 따서 상형 글자를 만들었다고 보는 것이 타당 함.
2) 범자(梵字)
- 성현<용재총화(?齋叢話)>
- 이수광<지봉유설(芝峰類說)>
- 황윤석<운학본원(韻學本源)>
- 이능화<불교통사(佛敎通史)>
3) 몽고글자
- 유희<언문지(諺文誌)>
4) 그 밖의 견해
- 서장 글자, 발리(pali) 글자, 우리나라의 옛 글자 등.
5) 해례
- 1940년 경북 안동에서 해례(解例)가 붙은 훈민정음 반포 시기의 원본 ‘훈민정음’이 나타남. => 정음 28자의 창제 원리를 모두 說明(설명) .
훈민정음 본문의 글자 쓰기에 대한 풀이
1) 해례(解例)의 짜임새
- 說明(설명) 문이 모두 한문
- 훈민정음 본문 + 훈민정음 해례 <제자해(制字解)?초성해(初聲解)?중성해(中聲解)
?종성해(終聲解)?합자해(合字解)?용자례(用字例)>로 구성.
- 훈민정음 28자의 발음법을 한자로써 說明(설명)
예)ㄱ소리는 ‘君(군)’자의 처음 나는 소리와 같다.
2) 초성(初聲)
- 초성 17자 +ㄲ?ㄸ?ㅃ?ㅉ?ㅆ??
- 초성은 소리 나는 자리에 따라 다섯 가지, 또는 일곱 가지 소리로 나뉨.
어금닛소리(牙音)
ㄱ ㅋ ㅎ
혓소리(舌音)
ㄷ ㅌ ㄴ
<반혓소리(半舌音)ㄹ
입술소리(脣音)
ㅂ ㅍ ㅁ
잇소리(齒音)
ㅈ ㅊ ㅅ
<반잇소리(半齒音)>?
목소리(喉音)
? ㅎ ㅇ
3) 중성(中聲)
- ‘ㆍ, ㅡ, ㅣ, ㅗ, ㅏ, ㅜ, ㅓ,…(To be continued )
사회복지,훈민정음,기원설들과,모아쓰기,대해,인문사회,레포트
설명
레포트/인문사회
다. 나란히 쓰면 ‘?(규)’자의 처음 나는 소리와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