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후감,report][독후감] 우리나라 최초의 현대소설 - 이광수의 `무정`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23 15:10본문
Download : [독후감,감상문][독후감] 우리나라 최초의 현대소설 - 이광수의 `무정`.hwp
“형식은 자기가 조선에 있어서는 …(투비컨티뉴드 )
독후감,감상문,독후감,우리나라,최초,현대소설,이광수,`무정`,감상서평,레포트
레포트/감상서평
다. 그리고 형식은 자신의 배필이 어느 정도 지적수준이 있어야 그것이 행복한 가정을 이루는 조건이라고 생각하는데, 이러한 형식의 생각은 교육수준과 학력을 우선시 하는 엘리트주의를 느낄 수 있었다.
“내가 저녁때 일을 마치고 집에 돌아오면 영채는 나를 기다리고 기다리다가 내가 오는 것을 보고 뛰어나오며 내게 안기리라. 그러나 영채가 만일 지금껏 아무것도 배운 것이 없으면 어쩌나. 내 마음과 내 사랑을 알아줄 만한 공부가 없으면 어쩌나. 어려서 글을 좀 읽었건마는 그 동안 7, 8년 간이나 공부를 아니 하였으면 모두 다 잊어버렸으렷다.순서
[독후감,report][독후감] 우리나라 최초의 현대소설 - 이광수의 `무정`
Download : [독후감,감상문][독후감] 우리나라 최초의 현대소설 - 이광수의 `무정`.hwp( 18 )
[독후감,감상문][독후감] 우리나라 최초의 현대소설 - 이광수의 `무정` , [독후감,감상문][독후감] 우리나라 최초의 현대소설 - 이광수의 `무정`감상서평레포트 , 독후감 감상문 독후감 우리나라 최초 현대소설 이광수 `무정`
설명
![[독후감,감상문][독후감]%20우리나라%20최초의%20현대소설%20-%20이광수의%20`무정`_hwp_01.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B%8F%85%ED%9B%84%EA%B0%90,%EA%B0%90%EC%83%81%EB%AC%B8%5D%5B%EB%8F%85%ED%9B%84%EA%B0%90%5D%20%EC%9A%B0%EB%A6%AC%EB%82%98%EB%9D%BC%20%EC%B5%9C%EC%B4%88%EC%9D%98%20%ED%98%84%EB%8C%80%EC%86%8C%EC%84%A4%20-%20%EC%9D%B4%EA%B4%91%EC%88%98%EC%9D%98%20%60%EB%AC%B4%EC%A0%95%60_hwp_01.gif)
![[독후감,감상문][독후감]%20우리나라%20최초의%20현대소설%20-%20이광수의%20`무정`_hwp_02.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B%8F%85%ED%9B%84%EA%B0%90,%EA%B0%90%EC%83%81%EB%AC%B8%5D%5B%EB%8F%85%ED%9B%84%EA%B0%90%5D%20%EC%9A%B0%EB%A6%AC%EB%82%98%EB%9D%BC%20%EC%B5%9C%EC%B4%88%EC%9D%98%20%ED%98%84%EB%8C%80%EC%86%8C%EC%84%A4%20-%20%EC%9D%B4%EA%B4%91%EC%88%98%EC%9D%98%20%60%EB%AC%B4%EC%A0%95%60_hwp_02.gif)
[독후감,report][독후감] 우리나라 최초의 현대소설 - 이광수의 `무정`
<무정> 개별독서보고서
고등학생시절 교과서에 나온 이광수의 무정은 우리나라 최초의 근대적 장편 소설이고, 계몽주의, 민족주의의 성격을 띠는 작품이라고 배웠다. 아아, 만일 영채가 이렇게 무식하면 어쩌는가. 그렇게 무식한 영채와 행복 된 가정을 이룰 수가 있을까.”1)
이 부분은 어릴 때 헤어지고 우여곡절 끝에 만난 영채를 본 장면이다. 당시 형식과 같은 신교육을 받은 지식인 계층이 생겨남에 따라, 지식인들이 스스로 자부심과 세상 사람들의 몽매함을 느꼈을 수도 있따 ‘그러나 교육을 받아야만 Japan의 지배에서 벗어날 수 있다’는 지나친 교육중심에서 작가 이광수의 한계를 느꼈다. <무정>의 주인공 형식은 신교육을 받았기에 자기만큼 조선에서 학식이 높은 사람은 없고, 스스로가 엘리트라고 자부하는 인물이다. 하지만, 이번 고전세미나 강의를 통해 작가 이광수와 주인공 형식에 대해 다른 면으로 읽어보았다. 신교육을 받은 형식이 사람을 대할 때 잣대를 그 사람의 교육수준으로만 본다는 점이 지식인으로써 부끄러운 사고라고 느꼈다. 그리고 <무정>에서 나타나는 이형식의 과도한 교육으로 생겨난 엘리트의식이 새 시대에 사회구성원을 또 다른 계층으로 나눈 건 아닌가 하는 생각도 들었다. 형식은 오랜만에 본 영채가 반갑지만, 학식이 없으면 나와 어울리지 않고 나보다 낮은 사람이라고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