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속요 여음의 특징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01 07:52본문
Download : 고려속요 여음의 특징.hwp
고려속요여음의특징 , 고려속요 여음의 특징기타레포트 ,
레포트/기타
다.






순서
Download : 고려속요 여음의 특징.hwp( 91 )
고려속요여음의특징
설명
실태와 기능을 중심으로 고려속요 여음의 특징에 대해 조사한 자료입니다. 이 의성여음은 악곡의 처음 을 알리는 기능과 노동요로서 작업의 처음 을 알리면서 주의를 집중시키고 흥을 돋우기 위한 기능을 한다.
3.2. 중치여음(中置餘音)
고려속가에 있어서 중치여음이 들어 있는 노래는 <정읍사>, <동동>, <처용가>, <서경별곡>, <쌍화점> 등이다. 고려 속가에 전치여음이 거의 없는 이유를 정재규 교수는 “고려가요에서 여러 사람이 함께 작업하는 노동요가 적었다는 것을 말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를 다른 말로 하면 고려가요 가운데 개인적인 서정을 노래한 것들이 많이 전수되었다고 할 수 있따” 라고 하여 고려시대에는 개인적인 서정으 노래한 것들이 많이 전수되었기 때문에 노동요가 적었다고 하였다.
달하 노피곰 도다샤
어긔야 머리곰 비취오시라. <정읍사>
정월ㅅ 나릿므른
아으 어져 녹져 논데. <동동>
滿頭揷花 계오샤 기울어신 머리예
아으 壽命長願샤 넙거신 니마해. <처용가>
西京이 아즐가
西京이 셔울히…(drop)
고려속요 여음의 특징
,기타,레포트
實態와 기능을 중심으로 고려속요 여음의 특징에 대해 조사한 자료(資料)입니다.
차 례
Ⅰ. 서 론
Ⅱ. 본 론
1. 여음의 concept(개념) 定義(정이)
2. 고려 속요 여음의 reality(실태)
2.1. 감탄여음(感歎的餘音)
2.2. 구음(口音)
3. 여음의 위치와 기능
3.1. 전치여음(前置餘音)
3.2. 중치여음(中置餘音)
3.3. 후치여음(後置餘音)
Ⅲ. 결 론
전치여음인 ‘듥기동’은 방아를 찧을 때 나는 소리의 의성여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