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교 평준화의 성과와 문제점(問題點), 대책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25 01:55본문
Download : 고교 평준화의 성과와 문제.hwp
고교 평준화 정책을 둘러싸고 논의가 분분하다. 그렇다면 이제 고교 평준화가 가져온 교육적 effect와 問題點, 그리고 앞으로 고교 교육이 지향해야 할 방향에 대상으로하여 알아보고 우리의 논지를 전개하도록 한다. 이 연구위원회에서 제시한 보고서에서는 인문고등학교의 경우 ‘고등학교 학군을 설정하고, 연합고사에 의하여, 입학자격자를 선발한 후, 추첨으로 학생을 학교에 배정하되, 후기에 실시하고 실업고등학교의 경우에는 시를 하나의 단위로 하여 학교를 임의 지원하게 하고, 연합고사 성적 및 체력장 성적에 의거하여 학생을 학교별로 선발하되, 전기에 실시할 것’을 제안하고 있다. 기초하고 있는 정책적 이념이 자유경쟁보다는 기회의 균등을 더 강조해야한다는 것이며 그런 점에서 엘리트 중심의 교육(elitism)에서 교육기회의 평등을 우선시하는 대중주의에 그 정책 이념의 토대를 두고 있다고 볼 수 있다. 학부모, 교육정책 당국자들, 경제학자, 교육학자들 모두 평준화정책의 존폐나 보완의 폭을 두고 의견이 크게 갈리고 있다. 또한 최근 일부 대학이 평준화된 교육현실에 크게 반발하면서 고교등급제를 적용한 사실이 드러나 사회적인 이슈가 되고 있다. 즉 교육의 목적을 바라보는 관점에 따라 다른 주장을 펴게 되는 것이다. 종전의 고등학교별 경쟁적 입시제도에 비추어 보면 고등학교 평준화제도는 한국 중등교육정책 중 가장 중요한 influence(영향)력을 행사한 제도라고 볼 수 있을 정도로 중, 고등학생들의 학교교육의 내용과 형식을 좌우했다.설명
4.3. 좋은 학군으로 몰리는 현상
고교 평준화의 성과와 문제점(問題點), 대책
4.2. 특목고가 대입 명문고로 대체 되는 현상
4. 노종희, 교육제도론, 서울 : 한국교육행정학회, 1996.
4.4. 학군별 수준 격차
고등학교 평준화제도는 1973년 입시제도 연구위원회의 제안으로 서울과 부산에서 1974년 처음 된 이래 올해로 시행 28년째를 맞이하고 있다.
순서
고교평준화 평준화 사교육 하향평준화 엘리트교육 교육제도 / 1. 윤종혁, 고교 평준화 정책의 적합성 연구, 서울 : 한국교육개발원, 2003. 2. 최대건, 고교 평준화3, 서울 : 사람생각, 2002. 3. 高校平準化制度 改善에 관한 硏究, 대한사립중고등학교장회. 한국사학교육연구소, 서울 : 大韓私立中高等學校長會 附設 韓國私學敎育硏究所, 1989. 4. 노종희, 교육제도론, 서울 : 한국교육행정학회, 1996. 그 외. 1. 네이버 지식인 2. 한국 교원노동조합 울산본부, 고교평준화 학부모 의식조사 보고서 3. 조선일보 2002.3.3.사설 4. 사교육비 지출에 대한 학부모 의식조사,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 마산 YMCA ()
3.2.1. 하향 평준화와 엘리트 교육의 부재
4.5. 학생들의 수준차로 인한 수업 진행의 어려움
3.2.6. 교육의 다양성 문제
4.1. 하향 평준화
3.2.3. 학생들의 수준차로 인한 수업 진행의 어려움
3.1.1. 고등학교 입시 경쟁과 사교육비 문제
Download : 고교 평준화의 성과와 문제.hwp( 72 )
3.2.2. 학군별 수준 차이와 좋은 학군으로 몰리는 현상
4.6. 학생의 교육 선택권 改善(개선)
2.1. 고교 평준화의 定義(정의)





그 외.
1. 서론
2.1.고교 평준화의 定義(정의)
2. 고교 평준화 introduce
3.2.4. 학교 선택권 침해
2. 한국 교원노동조합 울산본부, 고교평준화 학부모 의식조사 보고서
2. 최대건, 고교 평준화3, 서울 : 사람생각, 2002.
4.7. 사학의 독자성과 자율성 침해
5. 結論 1. 서론
3. 고교 평준화의 성과와 問題點
4.9. 사교육 문제
고교평준화 평준화 사교육 하향평준화 엘리트교육 교육제도
3. 高校平準化制度 改善에 관한 硏究, 대한사립중고등학교장회. 한국사학교육연구소, 서울 : 大韓私立中高等學校長會 附設 韓國私學敎育硏究所, 1989.
1. 네이버 지식인
2.2. 고교 평준화의 도입배경
4. 고교 평준화에 대한 대책
3.1. 고교 평준화의 성과
3.2. 고교 평준화의 問題點
고교평준화 평준화 사교육 하향평준화 엘리트교육 교육제도 / 1. 윤종혁, 고교 평준화 정책의 적합성 연구, 서울 : 한국교육개발원, 2003.
4. 사교육비 지출에 대한 학부모 의식조사,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 마산 YMCA ()
2.3. 고교 평준화의 교육적 목적
3.2.7. 사교육 문제
3.1.2. 성적으로 인한 서열화와 위화감 방지
2. 고교 평준화 introduce
3.2.5. 사학의 독자성과 자율성 침해
3.1.3. 공평한 학교 선택권 부여
3.1.4. 원거리 통학의 불편함 해소와 대도시로의 인구 집중 해소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3. 조선일보 2002.3.3.사설
4.8. 교육의 다양성 문제
다. 평준화를 반대하는 쪽은 경쟁력 강화를 위해서 평준화 정책을 크게 수정해야한다고 주장하고 있고, 평준화를 주장하는 쪽은 ‘보편 교육’의 중요성과 교육 기회의 균등을 근거로 평준화 정책을 찬성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