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thub.co.kr 해킹 및 악성코드 피해 감소 추세 > bithub5 | bithub.co.kr report

해킹 및 악성코드 피해 감소 추세 > bithub5

본문 바로가기

뒤로가기 bithub5

해킹 및 악성코드 피해 감소 추세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30 13:11

본문




Download : 2004081.jpg




지난 5월 이후 악성코드의 피해가 계속 역대 최고를 기록하던 추세가 한 풀 꺾인 셈이다.

순서

list_blank.png list_blank_.png list_blank_.png list_blank_.png list_blank_.png






최근 급격히 증가했던 악성코드 피해가 감소 추세로 돌아섰다.
해킹 및 악성코드 피해 감소 추세



 한편 7월의 해킹 피해는 총 1079건으로 전월 대비 29.1% 감소했다.
해킹 및 악성코드 피해 감소 추세
해킹 및 악성코드 피해 감소 추세


 이에 대해 KISA는 “악성코드의 피해가 줄어든 이유는 전체 피해의 90% 가량을 차지하는 넷스카이, 두마루, 베이글 등의 변종 피해가 줄어들었기 때문”이라며 “해킹 기능이 있어 스팸메일 전송이나 분산서비스거부(DDoS) 공격의 통로로 사용되는 악성코드에는 지속적으로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고 설명했다.  11일 한국정보보호진흥원이 발표한 ‘해킹 바이러스 통계 및 analysis’ 보고서에 따르면 7월에는 총 1만5669건의 악성코드 피해가 발생했다.
설명

 7월에 가장 큰 피해를 끼친 바이러스는 넷스카이(1만1706건)가 4월부터 4개월 연속 1위를 차지했으며 두마루(1271건)와 베이글(987건), 사세르(238건) 등이 그 뒤를 이었다. 이는 6월의 2만3414건에 비해 33%나 줄어든 수치다. KISA는 해킹 피해는 줄었지만 취약점이 나오고 이를 악용하는 바이러스의 출현시기가 점점 짧아져 주의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반면 악성코드 누적 피해는 7월까지 8만7894건을 기록, 작년 한 해 동안 나타난 8만5023건을 웃돌았다.

Download : 2004081.jpg( 20 )



 KISA는 또 “다만 대부분의 바이러스 메일이 영어이기 때문에 국내 네티즌의 관심을 끌지 못해 외국에 비해서는 상대적으로 피해가 덜한 편”이라고 덧붙였다.

해킹 및 악성코드 피해 감소 추세
 장동준기자@전자신문, djjang@
레포트 > 기타

다.
전체 41,359건 1 페이지
해당자료의 저작권은 각 업로더에게 있습니다.

evga.co.kr 은 통신판매중개자이며 통신판매의 당사자가 아닙니다.
따라서 상품·거래정보 및 거래에 대하여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 bithub.co.kr.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