쌀 소비 촉진을 위한 한국형 식생활 정착 보급
페이지 정보
작성일 19-11-22 13:46
본문
Download : 쌀소비촉진을위한한국형식생.hwp
순서
쌀 소비 촉진을 위한 한국형 식생활 정착 보급
제3장 쌀 소비 촉진을 위한 금후계획
2. 쌀 중심 한국형 식생활 정착 실천처리해야할문제 보급
한국형 식생활 쌀culture 쌀 음식 / ()
제1장 서 언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5. 쌀 이용 가공품의 상품화
제2장 한국형 식생활 정착 추진現況
8. 우리 콩으로 담근 전통 간장,된장 보급
1. 쌀文化(문화)의 변천과 보급처리해야할문제
Download : 쌀소비촉진을위한한국형식생.hwp( 51 )
6. 우리 고유의 식생활 文化(문화) 계승 발전
최근 들어 국민 1인당 쌀 소비량이 급격히 감소되고 있다아 1970년에는 쌀 소비량이 연간 1인당 136.4㎏이었는데 2001년에는 88.9㎏으로 감소되어 무려 47.5㎏이나 감소된 것으로 나타났다. 1999년도 우리 나라 남녀의 5대 사망Cause 을 보면 남자는 뇌혈관질환, 심장질환, 사고, 간질환, 폐암의 순이고, 여자는 뇌혈관 질환, 심장질환, 당뇨병, 위암, 사고의 순으로 나와있다아 이중 뇌혈관질환, 심장질환, 당뇨병, 간질환, 위암은 모두 식생활과 관련이 있는 질병이다. 쌀 소비가 급격히 줄어든 이유는 80년대 이후 국민들의 살림살이가 나아지면서 식생활이 간소화, 다양화돼 가고 있기 때문이며 이와 함께 우리의 식생활이 급격히 서구화되어 가고 있는 것이 가장 큰 Cause 이라 할 수 있다아 서양 채소나 과일, 양주, 커피 등의 소비가 점차 늘고 밥 위주의 식사에서 빵이나 우유, 반조리 식품, 가공 식품, 인스턴트 식품 등을 이용하는 가정이 증가하고 있다아 이로 인해 예전엔 문제시되지 않았던 성인병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고 남녀 사망 Cause 의 대부분도 식생활이 Cause 이 되어 생기는 성인병에 있다고 한다. 최근 10년간의 사망Cause 추이를 살펴보아도 대장암, 췌장암, 유방암, 전립선암, 허혈성심질환 등 식생활의 서구화에 따른 고지방식의 섭취가 Cause 인 질병이 점점 늘고 있는 추세다. 밥 위주의 식사에서 빵, 햄버거 등 빵식과 라면의 이용이 많아진 것이 밀 소비가 증가한 주요 요인이라 생각된다된다. 같은 기간 밀 소비는 1970년 26.1㎏에서 2000년엔 35.9㎏으로 9.8㎏가 늘었다.
한국형 식생활 쌀문화 쌀 음식 / ()
제4장 결 론
7. 소비자 식품정보 발간
3. 쌀 소비 촉진 운동 전개
4. 쌀 음식 개발 보급
설명
한국형 식생활 쌀문화 쌀 음식
다. 육류와 과일 소비도 80년대 이후 급격히 늘어나 10년 동안 거의 2~3배 가량 늘었다. 우리는 쌀에서 에너지와 단백질을 많이 섭취하는 쌀 주식 文化(문화)권에서 살아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