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고서reference(자료)]한국의발효음식문화
페이지 정보
작성일 19-09-22 10:17
본문
Download : [레포트자료]한국의발효음식문화.hwp
간장은 단백질과 아미노산이 풍부한 콩으로 만들어지는 발효식품으로, 불교의 보급과 더불어 육류의 사용이 금지됨으로써 필요에 의해 발생되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보고서reference(자료)]한국의발효음식문화
순서
![[레포트자료]한국의발효음식문화_hwp_01.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B%A0%88%ED%8F%AC%ED%8A%B8%EC%9E%90%EB%A3%8C%5D%ED%95%9C%EA%B5%AD%EC%9D%98%EB%B0%9C%ED%9A%A8%EC%9D%8C%EC%8B%9D%EB%AC%B8%ED%99%94_hwp_01.gif)
![[레포트자료]한국의발효음식문화_hwp_02.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B%A0%88%ED%8F%AC%ED%8A%B8%EC%9E%90%EB%A3%8C%5D%ED%95%9C%EA%B5%AD%EC%9D%98%EB%B0%9C%ED%9A%A8%EC%9D%8C%EC%8B%9D%EB%AC%B8%ED%99%94_hwp_02.gif)
![[레포트자료]한국의발효음식문화_hwp_03.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B%A0%88%ED%8F%AC%ED%8A%B8%EC%9E%90%EB%A3%8C%5D%ED%95%9C%EA%B5%AD%EC%9D%98%EB%B0%9C%ED%9A%A8%EC%9D%8C%EC%8B%9D%EB%AC%B8%ED%99%94_hwp_03.gif)
![[레포트자료]한국의발효음식문화_hwp_04.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B%A0%88%ED%8F%AC%ED%8A%B8%EC%9E%90%EB%A3%8C%5D%ED%95%9C%EA%B5%AD%EC%9D%98%EB%B0%9C%ED%9A%A8%EC%9D%8C%EC%8B%9D%EB%AC%B8%ED%99%94_hwp_04.gif)
![[레포트자료]한국의발효음식문화_hwp_05.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B%A0%88%ED%8F%AC%ED%8A%B8%EC%9E%90%EB%A3%8C%5D%ED%95%9C%EA%B5%AD%EC%9D%98%EB%B0%9C%ED%9A%A8%EC%9D%8C%EC%8B%9D%EB%AC%B8%ED%99%94_hwp_05.gif)
![[레포트자료]한국의발효음식문화_hwp_06.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B%A0%88%ED%8F%AC%ED%8A%B8%EC%9E%90%EB%A3%8C%5D%ED%95%9C%EA%B5%AD%EC%9D%98%EB%B0%9C%ED%9A%A8%EC%9D%8C%EC%8B%9D%EB%AC%B8%ED%99%94_hwp_06.gif)
Download : [레포트자료]한국의발효음식문화.hwp( 27 )
[보고서reference(자료)]한국의발효음식문화
레포트/생활전문
[레포트자료]한국의발효음식문화 , [레포트자료]한국의발효음식문화생활전문레포트 , 레포트자료 한국의발효음식문화
레포트자료,한국의발효음식문화,생활전문,레포트
한국의 발효음식(醱酵飮食) 文化(문화)
기계자동차工學(공학) 부 20051766 허정민
1. 장(醬)의 文化(문화)
장(醬)은 상고시대부터 오늘에 이르기까지 우리 민족의 전통적 식생활의 기본적인 조미료 이면서 부식품으로 상용하여 온 콩류 가공음식의 하나입니다.
▷ 日本(일본) : 장국(醬麴)을 만들지 않고, 대두(大豆), 쌀(), 국(麴) 등으로 직접 침장하는 조장법(造醬 法)이 원형이었다.
우리나라 고유의 간장과 된장은 콩과 소금을 주원료로 하여 콩을 삶아 이것을 띄워 메주를 만들고, 메주를 소금물에 담구어 발효시킨 후의 이 여액을 간장이라 하고, 나머지 찌꺼기를 된장이라 하여 식용해 왔습니다.
② 덧장
덧장은 장을 더 맛있게 하기 위하여 소금물에 장을 담그지 않고 장물에 메주를 넣어 담근 것이다.
※ china(중국) 과 日本(일본)이 콩, 쌀, 누룩 등으로 혼용하는 조장법과는 대조적으로 우리나라장은 대두단용(大豆單 用)으로 일관된 조장술을 이어 온 특이성을 찾아 볼 수 있따
나. 장의 종류
1) 간장
① 간장
간장은 콩을 삶아서 메주를 만들어 까맣게 뜨면 씻어서 쪼개어 말려서 소금물을 부어 장을 담근 후 3 ~ 4개월 만에 용수를 박아서 뜬 것이다. 간장은 훌륭한 단백질 공급원이며 오래도록 저장이 가능한 식품입니다.
▷ china(중국) : 대두(大豆)와 맥국(麥麴)으로 메주를 만들어 침장하는 방법이 통용되었다고 한다.
가. 장 담그기
장의 원료는 대두단용제품의 장국(醬麴)인 말장(末醬)이었으며 이 말장은 곰팡이 메주로서의 성상을 지닌 것이 그의 원형이었다. 간장을 뜨고 남은 메주를 부스러뜨려 소금을 친 것이 된장이다.
③ 급장
급장은 소금과 밀가루를 각각 타지 않게 볶아서 합하여 오래 묶은 된장과 섞어서 물을 붓고 끓여 물이 세 …(skip)
설명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