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물리학 實驗(실험)] 오실로스코프와 함수 발생기 實驗(실험)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03 21:28본문
Download : [일반물리학 실험] 오실로스코프와 함.hwp
![[일반물리학 실험] 오실로스코프와 함-4058_01.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311/%5B%EC%9D%BC%EB%B0%98%EB%AC%BC%EB%A6%AC%ED%95%99%20%EC%8B%A4%ED%97%98%5D%20%EC%98%A4%EC%8B%A4%EB%A1%9C%EC%8A%A4%EC%BD%94%ED%94%84%EC%99%80%20%ED%95%A8-4058_01.jpg)
![[일반물리학 실험] 오실로스코프와 함-4058_02_.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311/%5B%EC%9D%BC%EB%B0%98%EB%AC%BC%EB%A6%AC%ED%95%99%20%EC%8B%A4%ED%97%98%5D%20%EC%98%A4%EC%8B%A4%EB%A1%9C%EC%8A%A4%EC%BD%94%ED%94%84%EC%99%80%20%ED%95%A8-4058_02_.jpg)
![[일반물리학 실험] 오실로스코프와 함-4058_03_.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311/%5B%EC%9D%BC%EB%B0%98%EB%AC%BC%EB%A6%AC%ED%95%99%20%EC%8B%A4%ED%97%98%5D%20%EC%98%A4%EC%8B%A4%EB%A1%9C%EC%8A%A4%EC%BD%94%ED%94%84%EC%99%80%20%ED%95%A8-4058_03_.jpg)
![[일반물리학 실험] 오실로스코프와 함-4058_04_.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311/%5B%EC%9D%BC%EB%B0%98%EB%AC%BC%EB%A6%AC%ED%95%99%20%EC%8B%A4%ED%97%98%5D%20%EC%98%A4%EC%8B%A4%EB%A1%9C%EC%8A%A4%EC%BD%94%ED%94%84%EC%99%80%20%ED%95%A8-4058_04_.jpg)

1.함수발생기와 오실리스코프의 조작법을 읽히고 각각의 저항에 걸린 전압을 구한다. 저항의 크기가 모두 같으므로 각각의 저항에 걸리는 전압은 14/3mV가 되야한다.
.discussion
레포트 > 자연과학계열
설명
Download : [일반물리학 실험] 오실로스코프와 함.hwp( 12 )
순서
실제로 함수발생기에서 저항 A의 끝부분에 +극을 연결 저항 C의 끝부분에 –극을 연결한 상태에서 Vp전압을 측정(measurement)하기 위해 저항A의 양단에 연결하는 것은 정확한 Vp의 값을 얻을 수 없다. 2.RC회로에서 축전기와 저항에 걸린 전압의 위상차로 인해 그려지는 리사주 곡선을 이해한다. 점의 이동을 보면 x값의 최대가 위의 리사주 곡선의 x값의 최대의 2배가 된다된다. 이는 위의 리사주 곡선 그림에 맞지 않는 결과이다. 그 이유는 함수 발생기에서 발생한 전류가 저항A의 끝을 타고가 저항이 없는 오실로스코프와 연결된 도선을 따라 흐르기 때문에 실제로는 Vp에 전체전압이 걸리고 저항B,저항C에는 전류가 흐르지 않게 된다된다. 위상차가 0~90도 일 때의 리사주 곡선과 모양이 일치했다
[일반물리학 實驗(실험)] 오실로스코프와 함수 발생기 實驗(실험)
1.실험목적 1.함수발생기와 오실리스코프의 조작법을 읽히고 각각의 저항에 걸린 전압을 구한다.
실험1의 경우 저항의 걸리는 전체 전압 Vc=14mV이다. Vb=9.5mV≒2*14/3mV(=9.3mV)로 실험값이 理論값과 거의 비슷하게 나왔다.
다. 계산 결과 위상차는 70.515도가 나왔다. 여기서 오차의 요인은 아날로그 형식으로 표현된 전압값 측정(measurement)에서의 오류, 유효숫자의 한계의 의한 오류, 실제로 도선에도 저항이 존재하기 때문에 발생하는 전압측정(measurement)의 오류, 회로연결에서의 문제를 생각해 볼 수 있다
2.RC회로에서 축전기와 저항에 걸린 전압의 위상차로 인해 그려지는 리사주 곡선을 이해한다. 따라서 정확한 Vp=Vc-Vb=4.5mV로 理論값과 비교했을 때 오차율이 2.2%밖에 안난다.(오차율=2.1%) 측정(measurement)값 Vp=14mV는 理論값에 비해 엄청 크게 나왔는데(오차율=198%) 이는 측정(measurement)방식에서 오류가 생겼다고 추측할 수 있다
1.實驗(실험)목적
오실로스코프,함수 발생기 실험
실험2에서 주파수비가 1:1이므로 기울어진 타원의 모양이 나왔다.
주파수를 1hz로 낮춘 경우 오실로스코프에서 점이 x축 상에서 좌우로 움직임을 반복하는 모양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