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자의 예론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10 12:25본문
Download : .hwp
그러면서 虛가 있는 것은 이미 지닌 것으로서 새로 받아들일 것을 거부하지 않는 것이니, 이것을 虛의 상태라고 한다.고 하는 곳에서도 볼 수 있다 이렇게 보면 순자의 <심>은 <主體性>의 뜻을 가질 수 있는데, 심이란 육체의 군주이고, 신명의 주체이다. 그러나 순자가 말하는 심은 다만 萬理를 관조할 수 있지 만리를 포함하는 것은 아니다.
3. 禮와 法과의 관계
순자의예론 순자 철학의개관 성인, 성왕의개념(槪念) 예의함의와 범위 예와 다른 개념(槪念)의관계 / (순자의 예론)
Ⅰ. 孔子
순자는 <심>이 culture의 근원이 되고 동시에 도덕 의지를 나타낸다. 그러므로 입은 억지로 말을 시킬수 있고, 다물게 할 수 있으며, ... 마음은 억지로 뜻을 바꾸게 할 수 없다. 사람은 나면서부터 지각이 있고 지각하면 지가 있으니, 지란 심이 가지는 것이다.고 본다. 스스로 명령을 발하고 다른 것의 명령을 받지 않는다. 옳으면 받고 그르면 물리친다.고 한다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2. 禮와 道의 관계
Ⅴ. conclusion(결론)
2. 순자 철학에 있어서 가치의 근원
1. 禮와 義와의 관계
3. 성인, 성왕의 concept(개념)





순서
Ⅲ. 예의 내용
4. 禮의 효용
3. 예의 작용 원리
설명
(3) 심과 지식론
Download : .hwp( 81 )
순자의예론 순자 철학의개관 성인, 성왕의개념 예의함의와 범위 예와 다른 개념의관계 / (순자의 예론)
순자의 예론
1. 예의 기원
1. 순자 철학의 개관
순자의예론 순자 철학의개관 성인, 성왕의개념 예의함의와 범위 예와 다른 개념의관계
Ⅳ. 예와 다른 concept(개념)의 관계
2. 예의 함의와 범위
Ⅱ. 순자 예의 철학적 근거
다. 여기에서 순자는 심은 理를 관조할 뿐이지 生하는 것은 아니라고 말한다. 혼탁하여서는 <理>를 바르게 관조할 수는 없다.고 한다. 그런데 理를 바로 보기 위해서는 심은 大淸明의 경지에 이르러야 한다. 순자는 무릇 사물을 볼 때 의심이 있어 중심을 정하지 못하면 외물이 청명하지 못하고, 내 생각이 청명하지 못하면 그런 것과 안그런 것을 분별할 수 없다. 이는 있는 그대로의 情을 심으로 선택하는 것을 慮라고 하고, 심으로 사려하여 동작으로 나타낼 수 있는 것을 僞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