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U의 통상정책에 대한 우리의 대응방안
페이지 정보
작성일 21-02-26 22:20본문
Download : EU의 통상정책에 대한 우리의 대응방안.hwp
따라서 한국은 EU확대에 따른 반덤핑규定義(정의) 중 ? 중동구권으로의 확대 적용에 대한 대비책을 마련해야 한다. 비록 2001년 11월 도하각료회의에서 도하개발아젠다(Doha Development Agenda)의 formula(공식)출범이 선언되고, 협상의제에 반덤핑규정이 의제로 채택되어 EU의 반덤핑규定義(정의) 적용이 줄어들 것으로 展望(전망) 되지만, 반덤핑규정에 대한 협상이 완전히 타결될 수 있을지는 아직 불투명하다.
Download : EU의 통상정책에 대한 우리의 대응방안.hwp( 92 )
EU의 통상정책에 대한 우리의 대응방안
순서
,인문사회,레포트
^^1 , EU의 통상정책에 대한 우리의 대응방안인문사회레포트 ,
레포트/인문사회
^^
설명
1






EU의 개관
EU의 기구
유로화로 전환
단일통화를 추진하는 이유
EU의 공동정책
한-EU 통상정책 내역 및 展望(전망)
한국의 대응대안
한국의 대응대안
우선 유럽 차원의 단일시장의 형성은 단지 물자의 자유로운 이동뿐만 아니라 수많은 법적 제도적 장치의 단일화를 의미 한다. 뿐만 아니라 EU는 회원국간의 무역에 상대하여는 관세를 면제하고 반덤핑규정을 적용하지 않지만, 우회수출을 방지하기 위해 원산지규정을 채택하고 있다아 즉 제품 부가가치의 60% 이상이 EU 역내에서 창출되어야 EU 회원국의 제품으로 인정되어 회원국간의 교역에서 관세가 면제된다된다. 따라서 한국기업의 경우 관세를 면제받고 반덤핑규定義(정의) 적용을 피하기 위해서는 부품생산과 조달의 현지화를 …(skip)
다. 그러므로 법적 제도적 단일화는 현행 중동구권국가의 교역에 드는 행정적 비용이 줄어드는 긍정적인 측면과 더불어 중동구권 국가가 여태껏 거의 적용되지 않던 반덤핑규정을 포함한 각종 무역정책수단이 한국 상품에 적용될 가능성이 높아지는 부정적인 측면을 동시에 포함한다. 특히 한국을 비롯한 제 3국에게 직접적이고 민감한 부분은 EU 공동무역정책이며, 그 수단으로는 반덤핑규정, 긴급수입제한, 시장접근규 (Trade Barrier Regulation), 상계관세 등이 있다아 그 중에서 EU시장의 방어수단으로 가장 널리 사용되는 수단은 반덤핑규정으로 한국은 China과 인도에 이어 3번째로 EU 반덤핑 규정에 자주 적용되는 대상국가라는 점에서 향후 새로운 문제의 소지를 내포하고 있다아 1997년에서 2000년 사이에 반덤핑규정이 가장 많이 적용된 산업은 화학 섬유와 의류 그리고 철강제품으로 현재 EU에서 고용의 상당부분을 차지하고 있고, 생산이 감소추세를 나타내는 사양산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