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생물학실험] 순환계 및 심장박동 - 쥐 해부를 통해 실험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03-13 23:18
본문
Download : [일반생물학실험] 순환계 및 심장박동.hwp
또한 지방세포에서의 지방산 분비를 돕는데 이 지방산은 포도당과 함께 신체의 에너지로 사용된다 또한 심장의 박동속도와 폐의 세기관지를 팽창시켜 체내의 세포로 산소가 더 많이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먼저 아드레날린은 부신 수질에서 분비되며 스트레스나 위험에 reaction response하여 분비되는 호르몬이 다.
순서
설명
생쥐와 인간은 생김새는 매우 다르지만 모두 포유류이다. 포유류의 심장은 심실이 완전히 나누어져 있으며 각각 두 개의 심실과 심방으로 이루어져 있다아 심장의 왼쪽은 항상 산소가 풍부한 혈액(동맥혈)을 받아 펌프질을 하며 반대로 오른쪽은 산소가 적게 함유된 혈액(정맥혈)을 받는다.
이번 실험은 살아 있는 생쥐를 해부하여 심장박동 조절의 원리를 알아보고 온도와 두 가지 신경자극전도물질(adrenaline, acetylcholine)이 심장박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4개의 방으로 된 심장은 포유류가 내온동물로 생활할 수 있게 된 결정적인 요인이 되었다. 임무를 완수한 혈액은 반대로 각 기관과 조직에서 내놓는 이산화탄소와 같은 노폐물들을 우심방을 통해 우심실로 전달한다. 이를 위해 먼저 adrenaline 용액과 acetylcholine 용액을 직접 생쥐의 심장에 뿌린 후 심장박동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내온동물은 같은 무게의 외온동물에 비해 약 10배의 에너지를 소모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튼튼한 심장이 다량의 영양분과 산소, 이산화탄소 등을 빠르게 순환시켜야 하기 때문일것이다 포유류의 순환계는 아래의 그림으로 나타낼 수 있다아 좌심실에서 강한 수축력으로 인해 나간 혈액은 온 몸의 모세혈관으로 각종 영양분과 산소 등의 물질들을 전달한다. 우심실의 수축으로 다시 이 물질들은 폐로 향하며 폐에서 기체교환이 일어나 다시 혈액은 충분한 산소를 함유하고 좌심실로 향하며 이러한 순환이 계속된다(Ref.3).
순환계,심장박동, 쥐 해부를 통해 실험
신경자극전도물질로서 우리가 사용하는 물질은 adrenaline 과 acetylcholine이다.
Download : [일반생물학실험] 순환계 및 심장박동.hwp( 47 )
레포트 > 자연과학계열
![[일반생물학실험] 순환계 및 심장박동-5322_05_.jpg](/prev/201311/%5B%EC%9D%BC%EB%B0%98%EC%83%9D%EB%AC%BC%ED%95%99%EC%8B%A4%ED%97%98%5D%20%EC%88%9C%ED%99%98%EA%B3%84%20%EB%B0%8F%20%EC%8B%AC%EC%9E%A5%EB%B0%95%EB%8F%99-5322_01_.jpg../prev/201311/%5B%EC%9D%BC%EB%B0%98%EC%83%9D%EB%AC%BC%ED%95%99%EC%8B%A4%ED%97%98%5D%20%EC%88%9C%ED%99%98%EA%B3%84%20%EB%B0%8F%20%EC%8B%AC%EC%9E%A5%EB%B0%95%EB%8F%99-5322_02_.jpg../prev/201311/%5B%EC%9D%BC%EB%B0%98%EC%83%9D%EB%AC%BC%ED%95%99%EC%8B%A4%ED%97%98%5D%20%EC%88%9C%ED%99%98%EA%B3%84%20%EB%B0%8F%20%EC%8B%AC%EC%9E%A5%EB%B0%95%EB%8F%99-5322_03_.jpg../prev/201311/%5B%EC%9D%BC%EB%B0%98%EC%83%9D%EB%AC%BC%ED%95%99%EC%8B%A4%ED%97%98%5D%20%EC%88%9C%ED%99%98%EA%B3%84%20%EB%B0%8F%20%EC%8B%AC%EC%9E%A5%EB%B0%95%EB%8F%99-5322_04_.jpg../prev/201311/%5B%EC%9D%BC%EB%B0%98%EC%83%9D%EB%AC%BC%ED%95%99%EC%8B%A4%ED%97%98%5D%20%EC%88%9C%ED%99%98%EA%B3%84%20%EB%B0%8F%20%EC%8B%AC%EC%9E%A5%EB%B0%95%EB%8F%99-5322_05_.jpg)
다. 먼저 adrenaline 용액을 심장에 뿌렸을 때는 심장박동이 빨라지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acetylcholine 용액을 뿌렸을 때는 뿌리지 않았을 때보다 심장박동이 느려짐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이 호르몬의 목적은 즉시 사용가능한 에너지량을 증가시키는 것인데 이를 위해 간과 근육에서의 글리코겐 분해를 증가시키고 포도당의 분비를 증가시킨다. 먼저 adrenaline 용액을 심장에 뿌렸을 때는 심장박동이 빨라지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acetylcholine 용액을 뿌렸을 때는 뿌리지 않았을 때보다 심장박동이 느려짐을 알 수 있었다. 이를 위해 먼저 adrenaline 용액과 acetylcholine 용액을 직접 생쥐의 심장에 뿌린 후 심장박동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일반생물학실험] 순환계 및 심장박동 - 쥐 해부를 통해 실험
이번 실험은 살아 있는 생쥐를 해부하여 심장박동 조절의 원리를 알아보고 온도와 두 가지 신경자극전도물질(adrenaline, acetylcholine)이 심장박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