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 북한 언어 이질화 탐구와 통일 후 생길 언어 문제해결 방안 고찰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03 07:22
본문
Download : 남 북한 언어 이질화 탐구와 통일 후 생길 언어 문제해결 방안 고찰.hwp
레포트/감상서평
남 북한 언어 이질화 탐구와 통일 후 생길 언어 문제해결 방안 고찰
Download : 남 북한 언어 이질화 탐구와 통일 후 생길 언어 문제해결 방안 고찰.hwp( 28 )
순서
,감상서평,레포트
다.남·북한언어이질화탐






남·북한 언어 이질화 탐구와 통일 후 생길 언어 문제해결 방안 고찰에 대한 글입니다.
2. ‘로동신문’으로 알아본 남·북한 어휘의 차이
이번 課題에서는 북한의 로동당 중앙위원회 기관지로 가장 권위 있는 언론 매체로 인정받고 있는 ‘로동신문’을 읽고쓰기 …(skip)
남·북한 언어 이질화 탐구와 통일 후 생길 언어 문제해결 방안 고찰에 대한 글입니다.남·북한언어이질화탐 , 남 북한 언어 이질화 탐구와 통일 후 생길 언어 문제해결 방안 고찰감상서평레포트 ,
설명
Ⅰ. 머리말
Ⅱ. 본문
1. `표준어`와 `文化(culture) 어`
2. ‘로동신문’으로 알아본 남·북한 어휘의 차이
(1) 형식만 같은 어휘
(2) 의미만 같은 어휘
(3) 사회 구조가 반영된 어휘
(4) 외래어
3. 북한의 방송 보도 화술로 알아본 남·북한 표준 발음법의 차이
(1) 방송 보도 화술의 특징
(2) 방송 보도 화술로 알아본 文化(culture) 어 표준발음의 특징
4. 통일 후 생길 언어 문제와 그 예시
5. 통일 후 생길 언어 문제의 해결 方案
Ⅲ. conclusion
1. `표준어`와 `文化(culture) 어`
우리는 표준말을 `서울지역의 교양있는 사람들이 쓰는 말`로 하고 있는데 비해 북한에서는 「표준말」대신에 「文化(culture) 어」란 용어를 사용하고 있따
「文化(culture) 어」란 `평양을 중심지로 하여 세련되고 주체성있게 발전한 우리 민족어의 전형`이라고 정의(定義)(북한발행 백과사전)하고 있어 평양말을 표준 말로 하고 있따
언어 이질화 문제가 생긴 것은 두 나라가 기준 방언을 다르게 설정하였기 때문이다 남한에서는 서울 방언을, 북한에서는 평양 방언을 기준으로 언어규범을 정하고 있따
기준 방언이 달라지는 것은 남북의 국토 분단으로 인하여 언어 정책의 주체가 달라지고 정치, 경제, 文化(culture) 의 중심지가 달라졌기 때문에 나타난 현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