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고서]단토의 예술의 종말 선언을 통해 본 예술정의(定義) 논쟁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26 06:02
본문
Download : [보고서]단토의 예술의 종말 선언을.hwp
여기서 아서 단토가 말하는 ‘예술의 종말’이란 예술이라는 행위 자체가 끝났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1) 예술정의(定義)의 기준, 식별가능성의 종말
2. 예술의 종말 선언에 대한 비판
Download : [보고서]단토의 예술의 종말 선언을.hwp( 54 )
Ⅲ. conclusion(결론)
예술 작품을 식별가능성에 의해 정의할 수 없게 된 이상 예술을 정의할 수 있는 유일한
3. 예술정의(定義) 논쟁의 향후 전개 방향
1. 아서 단토의 예술의 종말 선언
Ⅱ. 본론
2) 예술정의의 유일한 기준, 해석가능성
![[보고서]단토의 예술의 종말 선언을-9667_01.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908/%5B%EB%B3%B4%EA%B3%A0%EC%84%9C%5D%EB%8B%A8%ED%86%A0%EC%9D%98%20%EC%98%88%EC%88%A0%EC%9D%98%20%EC%A2%85%EB%A7%90%20%EC%84%A0%EC%96%B8%EC%9D%84-9667_01.jpg)
![[보고서]단토의 예술의 종말 선언을-9667_02_.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908/%5B%EB%B3%B4%EA%B3%A0%EC%84%9C%5D%EB%8B%A8%ED%86%A0%EC%9D%98%20%EC%98%88%EC%88%A0%EC%9D%98%20%EC%A2%85%EB%A7%90%20%EC%84%A0%EC%96%B8%EC%9D%84-9667_02_.jpg)
![[보고서]단토의 예술의 종말 선언을-9667_03_.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908/%5B%EB%B3%B4%EA%B3%A0%EC%84%9C%5D%EB%8B%A8%ED%86%A0%EC%9D%98%20%EC%98%88%EC%88%A0%EC%9D%98%20%EC%A2%85%EB%A7%90%20%EC%84%A0%EC%96%B8%EC%9D%84-9667_03_.jpg)
![[보고서]단토의 예술의 종말 선언을-9667_04_.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908/%5B%EB%B3%B4%EA%B3%A0%EC%84%9C%5D%EB%8B%A8%ED%86%A0%EC%9D%98%20%EC%98%88%EC%88%A0%EC%9D%98%20%EC%A2%85%EB%A7%90%20%EC%84%A0%EC%96%B8%EC%9D%84-9667_04_.jpg)
![[보고서]단토의 예술의 종말 선언을-9667_05_.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908/%5B%EB%B3%B4%EA%B3%A0%EC%84%9C%5D%EB%8B%A8%ED%86%A0%EC%9D%98%20%EC%98%88%EC%88%A0%EC%9D%98%20%EC%A2%85%EB%A7%90%20%EC%84%A0%EC%96%B8%EC%9D%84-9667_05_.jpg)
예술이란 사전적으로 “미적 작품을 형성시키는 인간의 창조 활동”으로 정의된다 하지만 ‘예술이란 무엇인가’라는 질문의 답을 찾기란 쉽지 않다. 이제 예술과 예술작품은 철학적 의미 또는 理論(이론)적 조건에 의해 좌우되어질 것이다. 앤디 워홀의 <브릴로 상자>는 슈퍼마켓에서 판매하는 브릴로 상자와 외관상 차이가 없다.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3. 예술정의 논쟁의 향후 전개 방향
1. 아서 단토의 예술의 종말 선언
[보고서]단토의 예술의 종말 선언을 통해 본 예술정의(定義) 논쟁
2) 예술정의(定義)의 유일한 기준, 해석가능성
Ⅰ. 서론
다. 이에 더해 아서 단토가 ‘예술의 종말’을 선언하게
Ⅱ. 본론
Ⅲ. conclusion
아서 단토의 ‘예술의 종말’ 선언 이후 예술작품은 지각적으로 식별 불가능한 것이 되었다.
설명
2. 예술의 종말 선언에 대한 비판
아서단토,예술의종말,예술의종말선언,예술의정의,예술정의,식별가능성의종말,해석가능성,예술정의논쟁,예술의종말선언에대한비판
서론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예술은 “미적 작품을 형성시키는 인간의 창조 활동”을 의미한다. 과연 이 작품을 위해 앤디 워홀이 어떠한 창조 활동을 했는지에 마주향하여 는
Ⅰ. 서론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예술의 종말’에 대해 분석한 정낙림의 논문에서는 단토의 선언에 대한 두 가지 비판을 제기하고 있다. 예술에 대한 정의는 예술을 어떻게 인식하느냐에 따라 달라진다.순서
Ⅰ. 서론 Ⅱ. 본론 1. 아서 단토의 예술의 종말 선언 1) 예술정의의 기준, 식별가능성의 종말 2) 예술정의의 유일한 기준, 해석가능성 2. 예술의 종말 선언에 대한 비판 3. 예술정의 논쟁의 향후 전개 방향 Ⅲ. 결론
1) 예술정의의 기준, 식별가능성의 종말
고대 그리스의 철학자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는 모방으로서의 예술의 개념(槪念)을 정립하였다.
아서 단토는 앤디 워홀의 <브릴로 상자>를 보고 ‘예술의 종말’을 주장하였다.